논문 상세보기

노화에 따른 감각-운동 적응 형태 차이 연구 KCI 등재

The Difference of Sensory-Motor Adaptation Characteristics among the Elder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감각-운동 적응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 및 신경 생리학적 특성은 이미 많은 선행 연구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주로 적응 행태 자체에 관심을 두고 그 기전과 관련 신경 작용에 연구적 노력을 집중해왔다. 최근에서야 이 같은 결과들을 근거로 일상생활에 적용 가능한 방법론 적인 조망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은 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을 수준의 연구적 노력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과 젊이의 감각-운동 적응 능력 차이를 알아보았다. 노화에 따른 실제 기능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정상화 할 수 있는 방안 도출의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서 프리즘 적응 패러다임을 적용하였고 두 가지 시각 환경인 종말시각 피드백 환경에 노인 5명, 청년 8명, 동시시각 피드백 환경에 노인 5명, 청년 7명을 무선 배치했다. 실험 결과 종말시각 피드백에서는 청년 집단이 노인 집단에 비하여 적응속도를 나타내는 운동 수행 오차와 적응정도를 나타내는 후효과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적응 속도 및 정도가 시행 간 오차 수정 시 발생하는 의도적(explicit) 전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동시시각 피드백에서는 운동 수행 오차와 후효과 모두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행 중 적응이 발생하는 암묵적(implicit) 특징에 의한 것으로 해석 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암묵적인 운동 적응 능력이 노화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다는 결과를 유추하고 이를 이용한 노인 운동 학습을 위한 맞춤형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ensory-motor adaptation during the prism adaptation on aging. There were two visual environments (concurrent visual feedback and terminal visual feedback) which eliciting different mechanisms. Ten elderly and 15 young(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two visual environment groups randomly. Five elderly and 8 young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terminal visual feedback group, while Five elderly and 7 young participants were arranged the concurrent visual feedback group.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concurrent visual feedback environmen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adaptation rate during the prism adaptation and after effect between the elderly group and young group. However, the adaptation rate and after effect of the you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lderly group in the terminal vision environment. Explicit trial to trial error correction strategy was suggest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terminal visual feedback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current visual feedback environment elicited the characteristic of implicit learning during the adapta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elderly displayed adaptation deficiency when the cognitive intervention was required, while had no problem when the condition required an implicit adaptation. The importance of optimal environments for learning/adaptation among elderly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 설계 및 절차
  4. 측정 변인 및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각 시각 피드백 환경에서 집단에따른 프리즘 적응 중 운동 오차
  2. 종말시각 피드백 환경에서 집단 간 프리즘적응의 속도 및 적응 정도
  3. 동시시각 피드백 환경에서 집단 간 프리즘적응의 속도 및 적응 정도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경현(성균관대학교) | Kyoung-Hyun Lee (SungkyunKwan University)
  • 이지항(성균관대학교) | Ji-Hang Lee (SungkyunKwan University)
  • 윤희철(성균관대학교) | Hee-Chul Yoon (SungkyunKw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