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의 타당도를 강화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선수, 생활체육참가자, 남성,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 활용가능한지 즉 운동수준과 성별이 상이한 집단에서 SMS-K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척도를 통해 측정된 동기는 크게 무동기, 외적동기, 내적동기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어지고 아울러 외적동기는 4가지 요인(외적조절, 내사조절, 확인조절, 통합조절)으로 세분화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외적동기의 위계적 모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국내의 대학운동선수 199명과 경쟁적인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175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측정동일성분석, 잠재평균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첫째,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가 선수, 일반참가자, 남성, 여성 모두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척도로 검증되었다. 둘째, 운동수준, 성별에 따라 스포츠 참여동기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적조절, 내사조절, 확인조절, 통합조절 요인들이 상위의 개념 ‘외적동기’에 내포되었다. 따라서 ‘외적동기’를 일차원 및 이차원으로 볼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결론: SMS-K의 타당도가 강력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외적동기의 위계적 모형이 검증 되었다.
Purpose: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port Motivation Scale(SMS-K), the study tried to find out whether this scale can be used to measure the sport motivation of athletes, ordinary participants, males and females; whether this scale can be used to compare motivation of two groups with different activity level and gender. In addition, the motivations measured through SMS-K are divided into three levels: a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extrinsic motivation can be subdivided into four factors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itegrated regulation), And to verify the hierarchical model of external motivation. Methods: 199 university athletes and 175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competitive spor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alysis method used measurement invariance analysis, latent mea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sults: First, SMS-K is verified to be used for groups with different activity level(athletes, ordinary participants) and gender(males, females) in the same wa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 depending on the activity level and gender. Lastly, external regulations, introjected regulations, identified regulations and integrated regulations were included in the superordinate factor, extrinsic motivation. Conclusion: The validity of SMS-K was strongly verified. Also proven that extrinsic motivation was hierarchic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