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Perceived Coaching Behavior on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ou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3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수준(중·고등학교·성인),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의 요인 간 관계를 확인하여 중· 고등학교·성인 개인종목 선수들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개인종목 선수 57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5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남성: 325, 여성:215, 평균연령: 17.07세). 설문지 구성 내용은 총 55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5문항, 코칭행동 25문항, 선수만족 10문항, 탈진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3.0과 AMOS 23 프로그램 통해 전산 처리 하였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이 선수 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코칭행동의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훈련 및 지도,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권위적인 행동과 선수만족이 탈진에 영향력이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선수 경우 훈련과 지도, 긍정적 보상에 대한 코칭행동, 고등학교 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사회적 지지, 성인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중· 고등학교· 성인 모두 탈진에 선수만족과 권위적 행동이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결론: 성, 경력에 따라 지각된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에 대한 반응은 일부 요인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수준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하위요인들에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고, 중·고등학교·성인 모두 선수만족과 코칭행동의 권위적인 행동이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에게 지각되는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과 선수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현장에서 지도자가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by gender, levels and careers an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variable of athletes. Methods: Five hundred sevent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student sports players and athletes. Among them, total 540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325, female: 215, Mage= 17.07years). Leadership scale for sport, satisfaction in athletic and athlete burn out questionnaire were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by gender, levels and careers. 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of athlete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made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knowledge about athletes'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thletic satisfaction and burn out.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윤리적 고려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배경변인에 따른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탈진, 선수만족의 차이
  2. 지각된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의상관관계
  3. 수준별(중⋅고등학교⋅성인) 지각된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의 관계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박인경(서울과학기술대학교) | Inkyoung Park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효미(이화여자대학교) | Hyomi Kim (Ewha Womans University)
  • 박승하(이화여자대학교) | Seungha Park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