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 개념구조 KCI 등재

The Conceptual Structure of Positive Psych ological Capital for Youth Football Play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소년 축구선수의 역경 극복 경험을 기반으로 한 축구 긍정심리자본 개념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하여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소년 축구클럽 소속의 초ㆍ중등학교 축구선수 7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검사지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62명의 유소년 축구선수가 참여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273명의 유소년 축구선수가 자료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개방형 설문지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 하였으며, 범주화를 토대로 도출 된 결과는 SPSS 19.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은 총 114개의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자기 신념, 한계 극복, 인내, 성장 발판 등 9개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고, 이는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성, 희망 등 4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도출한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등 비교적 타당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은 14문항이 적합도 수준에 있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소년 축구선수는 주관적 경험과 해석에 따른 역경을 경험하지만 자신의 심리자원을 토대로 극복하여 긍정심리자본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가 유소년 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개념을 이해함과 동시에 유소년 선수의 축구 긍정심리자본 구축에 관심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mbodied after overcoming adversity of youth football player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for 73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football players belonging to youth football club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A total of 262 youth football players provided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questionnaires, and 27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tball players from youth clubs provided data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llected open questionnaire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ategorization were extract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9.0 and AMOS 18.0. Results: First, a total of 114 raw data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football player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nine sub-categories, including self-belief, ability to overcome limits, patience, and footing of growth. These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elf-efficacy, resilience, hope and optimism.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utcomes of youth football players deriv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reasonable results in terms of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Thir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football players showed that 14 items. Conclusion: Youth football players experience adversity as a result of subjective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but overcome adversity based on their own psychological resources and for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 hope that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 into the concep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football players and spark interest in the establish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st youth football player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과
  1. 축구 긍정심리자본의 범주
  2. 축구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정수(세명대학교) | Jeong-Su Kim (Semyung University)
  • 김현주(한국체육대학교) | Hyeon-Ju Kim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