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종교적 신 념과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년 여성 21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종교적 신념 척도, 낙관성 척도를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실시하고, 그 중 201명 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3.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종교적 신념, 낙관성의 연 구변인 모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회복 탄력성의 관계에서 종교적 신념과 낙관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earning flow as a strategy to promote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city G.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aron and Kenny'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Optimism and social support (r=.372, p<.001), social support and learning flow (r=.445, p<.001), and optimism and learning flow (r=.437, p<.001)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Baron and Kenny's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In step 1, optimis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β=.372. p<.001). In step 2, optimis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β=.437. p<.001). In step 3, social suppor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optimism and learning flow (β=.315. p<.001, β=.328. p<.001).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ategies that promote optimism and social support are needed to enhance learning flow among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증진하기 위한 고려로 낙관성과 진로적응력 간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와 M시의 4년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이며, 자료는 2023년 4월부터 5월까지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 계, Pearson 상관계수, Baron과 Kenny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낙관성은 학습몰입에 정 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낙관성은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학습몰입은 낙관성과 진로적응력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로써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낙 관성과 학습몰입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들이 간호교육현장에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질풍노도의 시기인 청소년기에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위하여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적 낙관성을 향상시키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학생 26명의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 참가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26명의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10회기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 는 심리적 낙관성의 척도지와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낙관성의 사전 평균점수는 3.50점(SD=0.76)이며 사후 평균점수는 4.06점(SD=0.56)으로 평 균점수가 0.56점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도 10 점 만점 중 평균 9.4점으로 만족도도 높게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음식재료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있어서 청소년들에게 심리적·정서적으로 쉽 게 다가갈 수 있어서 심리적 낙관성을 향상시키는데에 효과를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많은 청소년들에게 푸드아트심리상담 프로그램이 개입할 수 있도록 행정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trust, knowledge, optimism, risk and benefit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A total of 326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data indicated a good model fit in Model 2 rather than Model 1, in which the direct effects of trust, optimism and benefi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while the direct effects of knowledge and risk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the interaction term of risk and benef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attitude. Moreover, the effect of risk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ll levels of benefit, except at the lower benefit level.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genetically modified food developers and marketers should attach importance to the interaction effect of benefits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market demand and customer loyalty.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보드 게임을 활용하여 낙관성 증진 효과를 검 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낙관성이 자기효능감, 성취감, 성적, 삶의 만족도, 역경 극복 등과 밀 접하게 관련이 있기에 낙관성 증진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질과 상관없이 낙관성 도 학습될 수 있다는 Seligman(1990)의 연구를 기반으로, 보다 캐주얼한 환경에서 게임을 활용 하여 낙관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study1에서는 사전 (t1) 검사 시 낙관주의는 M=–4.7, 그리고 사후(t2) 시기에는 M=12.8점으로 증가하였다 (***p<.001). study2에서는 실험집단(n=21)과 함께 통제집단(n=22)도 설계하였으며, 실험집단은 M=–2.4(t1)에서 M=11.5(t2)로 증가하였으나(***p<.001), 통제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참여자를 대상으로 운동정서와 낙관성 및 희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필라테스 운동참여자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SPSS 15.0 및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운동정서는 낙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운동정서는 노력과 미래믿음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운동정서가 희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필라테스 운동참여자의 낙관성은 희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낙관성은 희망의 하위요인 중 주도사고보다는 경로사고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세부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This study wi1l examine the Eliot‘s reaction to the American Puritanism. One of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uritan society was that it kept its balance between two contradictory doctrines. While the American Puritans had the Calvinistic notion of original sin, they emphasized their self-confidence and pride as the chosen people and believed that they had been already saved as New Israelites of the City of God. As a result, they paradoxical1y came to dilute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It is the American Puritan jeremiad that reveals this paradox and has worked through American rhetoric as the ideology accelerating Americanization up to the present. Though it was a kind of reprimand and lamentation, the jeremiad was at the same time the rhetoric that directed an imperiled people of God to fulfill their destiny and guided them individually toward salvation and collectively toward the American City of God. This study examines Eliot’s reaction against such an optimistic progressive rhetoric. In a sense, E1iot as a Christian poet should be fundamentaIIy optimistic.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he is opposed not to optimism or progress itself, but to shallow such optimism and blind belief in progress without understanding of human life as Eliot thinks is Emerson’s Transcendentalism. And it is the transition from American Puritanism to Transcendentalism that Eliot pays attentlOn to. In the course of his reaction to American Puritanism inc1uding Unitarianism and Transcendentalism as a sequence of American Puritanism, Eliot in turn criticizes humanism for the be1ief in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and the ignorance of original sin, which drives the modem world to what he regards as wrong, i. e., Romanticism, Democracy, and Protestantism. Therefore what concems Eliot the most about the modem world is the disappearance of the sense of sin, which, he argues, is another product of the American Puritan optim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