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경력과 수행수준에 따라서 심상유형과 경쟁상태불안의 차이가 있는지, 심상유형이 경쟁상태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391명이며, 심상유형과 경쟁상태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스포츠 심상 질문지(SIQ)와 경쟁상태불안 검사지(CSAI-2)를 사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맞게 다변량분석, 상관분석 및 단계별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경력에 따라서 구체적 동기 심상과 구체적 인지 심상 그리고 인지적 상태불안, 상태 자신감의 차이가 있고 수행수준에 따라서 구체적 인지 심상과 인지적 상태 불안, 상태 자신감의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적 상태불안에는 일반적 동기-각성 심상과 구체적 동기 심상이 영향을 주었고 신체적 상태불안에는 일반적 동기-각성, 구체적 동기, 일반적 동기-숙련 그리고 일반적 인지 심상이 영향을 주었다. 상태 자신감에는 일반동기-각성, 구체적 동기, 그리고 일반 동기-숙련 심상이 영향을 주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심상훈련을 할 때는 심상의 목적과 기능을 일치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d of imagery types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ry types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levels and career. 391 Taekwondo play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Sport Imagery Questionnaire(SIQ) and Comep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CSAI-2). The statistical techniques of t-test, M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al and cognitive specific imagery,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according to a career.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specific and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level.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otivational general-arousal, motivational specific predicted the cognitive state anxiety, motivational general-arousal, motivational specific, motivational general-mastery and cognitive general imagery predicted the somatic state anxiety. motivational general-arousal, motivational specific and motivational general-mastery imagery predicted state confidenc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agery function and ai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