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판 운동선수 만족 척도의 구조적 타당화 KCI 등재

A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Athlete Satisfaction Scale for Collegiate Athl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2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에서 개발된 대학 운동선수의 만족 척도(ASQ: Riemer & Chelladurai, 1998)를 국내 실정에 맞도록 제작된 한국판 척도의 구조적 타당도를 점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절차는 (1) ASQ의 국문 예비판을 제작하고, (2)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3) 확정판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를 진행하였다. 국문 예비판은 번역과 번역본 검토 단계 및 1차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535명의 8개 팀종목(농구, 럭비, 배구, 아이스하키, 야구, 축구, 필드하키, 핸드볼) 대학 남자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8요인 40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대학 남자운동선수 125명을 대상으로 문항 간 내적일관성 분석과 검사-재검사에 의한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일관성과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측정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주전선수와 비주전선수 간의 개인수행, 능력활용, 훈련과 지도, 팀기여, 팀응단합과 헌신 요인에서 주전선수가 비주전선수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SQ(Athlete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Riemer and Chelladurai(1998) for collegiate athletes. For this, the procedures were developing the initial and final Korean version of ASQ, analyzing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ASQ based on the initial version, and examin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final version of ASQ. Produced through the translation and its review, the initial Korean version of ASQ was collected from data using 535 collegiate athletes. The final version of ASQ, consisted of 8 factor, 40 items, was completed through item and factor analysis. A sample of 125 collegiate athletes responded to the final version of ASQ to test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of i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istency and st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SQ was very excellent.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Group differences between leading players and substitute players on the subfactors of personal performance, ability utilization, training and instruction, team contribution, team integration and dedication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SQ.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Jung Gil Park
  • 문익수(고려대학교) | Ik Soo Moon
  • 유정인(고려대학교) | Jung In Y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