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능력믿음과 목표성향, 지각된 유능감 및 무용 내적동기간의 인과분석 KCI 등재

A Causal Analysis between Ability Beliefs, Goal Orientations, Perceived Competence, & Intrinsic Motivation in D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3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능력에 대한 자기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Biddle 등(2003)의 운동능력개념 검사지(CNNAQ-2)를 무용 맥락으로 수정하여 그 구조적 타당성을 확인하고, 무용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능력믿음과 목표성향, 지각된 유능감 및 내적동기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1차 자료는 검사지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위해 187명에게 수집되었고, 2차 자료는 검사지의 구인타당도 평가와 인과분석을 위해 512명에게 수집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검사지의 구인타당도 평가결과 4요인(향상, 학습, 재능, 안정적)이 무용능력에 대한 믿음을 예측 가능한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인과분석 결과 무용능력에 대한 증가된 믿음은 과제성향을, 능력을 재능과 안정적인 것으로 보는 실재 믿음은 자기성향을 예측하였다. 증가된 믿음은 지각된 유능감에 직접적으로, 과제성향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주었다. 목표성향은 지각된 유능감에 직접 영향을 주지만 과제성향목표만이 지각된 유능감을 매개로 내적동기에 간접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과제성향은 내적동기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능력믿음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과제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validity of a scale modified CNNAQ-2(Biddle et al., 2003) based on self-theory of ability into dance setting and to examine a causal relation between ability beliefs, goal orientations, perceived competence, and intrinsic motivation among university dance students. First survey was conducted to 265 student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of a modified scale. Second data was collected from 512 students for evaluating construct validity and examining a causal relation.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validity of the modified measure was confirmed that four factors(improvement, learning, talent, and stable) model can predict beliefs about dance ability. The results of casual analysis confirmed hypotheses that incremental ability beliefs predict an task-oriented goal, while entity beliefs predict an ego-oriented goal. Incremental beliefs directly affected to perceived competence and had an effect on it directly via task-oriented goal. Both task- and ego- oriented goal orientation directly influenced perceived competence, but only task goal in turn affected to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perceived competence. Also task-oriented goal directly affected to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ability beliefs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Jung Gil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