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절간 각도에 따른 시간 타이밍의 지각과 동작 제어 특성 KCI 등재

Perception and Action on Temporal Timing across Different Segment's Angl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다섯 개의 분절간 각도가 다른 시각 정보에 대한 시간 타이밍의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명의 여자 성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되는 시각정보를 보면서 J키와 F키를 이용하여 각 분절의 길이에 맞는 시간 타이밍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절간 각도는 10°, 30°, 60° 인 실험 조건에서 각 분절의 길이에 맞는 시간 타이밍의 지각적 특성과 실제 타이밍 반응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지각적 특성은 제시되는 시각 정보를 어떻게 지각하였는지를 실제 반응 이후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실제 타이밍 반응은 실제 반응 타이밍 시간과 분절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 시간 값 간의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도 조건에 따라 각도 조건에 따른 시간 타이밍에 대한 지각이 전반적으로 다르게 나타나 시각적 착시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제 동작은 각도 조건에 관계없이 동일한 타이밍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과 동작의 처리과정의 분리적인 특성을 제시한 Milner와 Goodale(1995)의 지각-동작 가설과 동작 제어시 계획 단계와 다른 온라인 제어에 의한 동작 수정이 이루어진다는 Glover(2002)의 계획-제어 가설과의 관련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and action on temporal timing across different segment's angles. Participants were 18 female adults who performed a sequential timing task. The experimental task is to press two computer keyboards, J or F key on sequential movement task with 5 segments/trial, which consisted of 9 trials on an angle: 10, 30, or 60 degree respectively. For examining the effects of temporal timing control on a perceptual characteristics by angle, we analyzed a perceptual velocity characteristics in pressing keyboard by a questionnaire and two timing errors measured by Eye Hand Timing Coordination Program (EHTCP), which consisted of relative timing error and absolute timing error. The results represented that even though they had a different perceptual velocity characteristics on angles: 10, 30, or 60 degrees, participants pressed keyboar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relative timing error and absolute timing error. We conclude that this results may have relevance to the perception-action hypothesis (Milner & Goodale, 1995) explaining the segregation of perception and action, and the planning-control hypothesis (Glover, 2002) showing some behavioral correction by on-line control in performan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과제 및 도구
  3. 실험 절차
  4. 자료 분석
  5. 통계 분석
 Ⅲ. 연구결과
  1. 각도 조건에 따른 분절 길이에 대한 지각 차이
  2. 각도 조건에 따른 타이밍 오차의 차이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동욱(서울대학교) | Han, Dong-Wook 교신저자
  • 박승하(이화여자대학교) | Park, Seung-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