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만족 척도 개발 KCI 등재

The Development of Participant's Exercise Satisfaction Scale in S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만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절차로는 먼저 개방형설문지를 통하여 문항 탐색과 적절성 평정을 실시한 후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확정판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로 수행 하였다. 예비판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10개 종목(골프, 윈드서핑, 볼링, 축구, 테니스, 수영, 헬스, 검도, 등산, 에어로빅)에 참여하는 생활체육 참가자 6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신체적 기능향상(3문항), 운동능력향상(3문항), 사교증진(3문항), 심리적 안정(3문항), 건강생활(3문항)으로 총 5개요인 15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urpose for the development of scale and verifying structural validity to estimate the exercise satisfaction of exercise participants taking part in Sport for all regularly. To attain the goal of study, we first performed to explore items and make a proper estimation via open questionnaire, and struczed reliability based on the profile strucsis, at last inspected structural concept validity of set questions. Ton ugh factor atructurafor profile, we collected 689 persons samples participating in ten sport events(golf, windsurfing, bowling, socceonntennis, swin ing, fitness, clinbing, aeoobic, kendo), and completed questionnaire conturting of total five factors and fifteen items including the impoovstint phctucal function(3 items)nnthe impoovstint of exercise ability(3 items)nnthe impoovstint of relationsing(3 items)nntintal stability(3 items)nnhealthy life(3 items) via content and factor analysi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처리방법
 Ⅲ. 결 과
  1. 운동만족 개방형 설문 반응 귀납적 내용분석
  2. 운동만족 척도의 내적 구조 타당도 검증
  3. 운동참여빈도에 따른 운동만족 척도의 외적 구조 타당도 검증
 Ⅳ. 논의 및 제언
  1. 논의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 운동만족 척도
저자
  • 유정인(인천대학교) | Yoo, Jung-In 교신저자
  • 성창훈(인천대학교) | Seong, Chang-Hoon
  • 박상혁(고려대학교) | Park, Sang-Hyuk
  • 문익수(고려대학교) | Moon, Ik-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