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 공간, 일상, 미술에서의 시간성을 중심으로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실천적 의미 고찰 KCI 등재

A Study of Practical Educational Meaning in Socially Engaged Art Based on Urban Space, Daily Life and Temporality in A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2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적 의미 고찰을 위해 대다수 현대인이 거주하는 도시 공간과 그 곳에서의 일상적 삶의 모습을 정리하면서 관료제, 일상성, 소외 문제 등으로 대표되었던 도시생활 의 특성이 여전히 지속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런 가운데 동시대 미술은 개인과 공동체를 통합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다양한 참여 주체간의 협업을 통한 집단 창작도 수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매체의 확장은 물론, 미술에 시간성이 적극적으로 수용되기에 이르면서 과정상의 행위 자체가 작품으로 간주되는 등 변동성까지 내포하게 된다. 그중 사회참여미술은 미술이 공동체 구성원들의 현실 참여를 이끄는 매개가 되어 사회적 쟁점사항에 대한 주변의 관심과 변화를 촉발시키면서 미술의 공적 가치를 보여주는 장르라 해석할 수 있다. 행위예술의 예술적 개념과 작업 방식에, 크고 작은 우리의 삶속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행위가 더해짐으로서 매체 간, 영역 간의 통합적 접근을 요청한다고 볼 수 있었다.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교육활동 구안을 위해서는 타자에 대한 관심,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 능력, 참여자들 간의 비판적 대화 과정 등이 종합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고 보았으며, 특히 실천 지향의 교육활동으로 자아와 타자, 개인과 공동체를 연결 지어 바라보는 경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끝으로 삶을 지탱하는 힘을 키우고 인간의 삶에 대해 성찰하면서 시대의 직면 문제를 극복해내는 역량을 키우는 학문이 인문학이니 만큼, 미술교육 또한 그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As a medium that leads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on in reality, socially engaged art is one of the art genres exemplifying the public value of art [by playing such roles as sparking people’s interest in crucial social matters. More importantly, it is expected to encourage collective communication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public that would bring about social change. To begin we examined urban spaces in which the majority of people reside today and their daily lifestyles in those spaces, and were able to discover that uniquely urban characteristics, such as bureaucracy, the humdrum of daily life, and issues of alienation, have continually deepened over time. Moreover, art—that was previously viewed as an individual’s creation—has come to be seen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collective creation is also taking place through collaboration among various participants. In addition, art, which was a spatial concept, is being accepted as a temporal element thanks to the medium’s development, and now has variability as an act itself with the process recognized as a work of art. The mechanism of performance art gives rise to socially engaged art by adding practicality and action to resolving issues in real life. Socially engaged art requires an integrative approach to various other fields. It requires not only interest in others,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and the ability to make use of it, but also needs a process of critical conversation among participants. That educational experience, which aims for praxis,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a more proactive and autonomous attitude in life and that can be regarded as socially engaged art’s educational value.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동시대 사회의 양면성
  1. 도시 공간과 일상적 삶의 풍경
  2. 일상성과 삶의 태도
 Ⅲ. 동시대 미술에서의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와 시간성
  1. 개인의 자의식과 공동체 사회의 관계
  2. 미술매체의 발달과 시간성 수용 양상
 Ⅳ.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실천적 의미
  1. 사회참여미술에 대한 이해
  2.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도모를 위한 사회참여미술의 수용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진은정(울산 송정초등학교) | Jin Eun-Jeong (Song-Jung Elementary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