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ridge made from different Korean rice varieties including high yield tongil-type rice KCI 등재 SCOPUS

다수성 통일형을 포함한 벼 품종이 쌀미음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20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는 벼 품종에 따른 미음 가공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9개 벼 품종의 호화점도 특성과 미음의 색도, pH, 점도 및 퍼짐성을 측정하고, 초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신속점도계를 이용한 호화 점도(페이스팅) 분석에서, 치반점도는 한아름4호, 화선찰이 각각 -45.84 및 -27.50 RVU, 최종점도는 화선찰, 한아름4호가 각각 109.00, 213.42 RVU로 미음죽의 노화가 다른 품종들에 비해 느릴 것으로 판단된다. 쌀 낟알과 미음의 미세구조를 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는데, 쌀알은 다각형의 전분립으로 구성된 구 형태의 전분체와 이러한 전분체로 구성된 전분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담쌀은 구 모양의 전분체가 관찰되었고 다른 품종들에 비해 빈 공간이 더 많았으며, 한아름4호는 일반 멥쌀의 형태와 같은 다각형의 전분립을 확인하였고, 화선찰벼는 전분체를 구성하는 전분립들의 부서짐이 많은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이 품종들로 만든 미음죽 호화양상은 품종별로 달랐는데 이는 주로 아밀로오스 함량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같은 고아밀로오스 품종이라 하더라도 도담쌀에 비해 고아미4호는 잘 풀어지고 호화가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바(data not shown),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품종별 미음 제조 후, 관능검사에서 통일형(초다수성) 벼품종과 자포니카 벼 품종들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초다수성 벼 품종으로 자포니카 벼 품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data not shown). 또한 아밀로오스 함량 차이에 따른 벼 품종들 간의 점도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는데 아밀로오스가 없는 찰벼 품종은 미음죽의 점도를 낮추고, 고아밀로오스 품종들은 미음죽의 점도를 높였다. 통일형(초다수성 벼)을 포함한 일반메벼 품종들의 점도는 찹쌀과 고아밀로오스 품종들로 만든 미음의 중간정도를 보였으며 품종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요컨대, 통일형 품종은 일반쌀 품종에 비해 밥용으로 식미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미음에 대한 가공적성 평가 결과, 통일형쌀 품종과 일반쌀 품종 간에 품질 차이가 없었다. 쌀미음의 점도와 퍼짐성은 쌀미음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9개 품종(통일형 4개 품종, 일반형 5개)의 쌀미음 가공적성을 평가한 결과, 고아밀로오스(31.8%-42.8%) 쌀 품종들은 점도가 높아(낮은 퍼짐성) 걸쭉하였고, 저아밀로오스(5.0%)인 찹쌀 품종은 낮은 점도(높은 퍼짐성)로 유동적이었다. 중간정도의 특성을 가진 멥쌀(18.2%-19.9%) 품종들이 쌀미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멥쌀 품종들 중에서 생태형(통일형/일반형)에 따른 쌀미음의 점도와 퍼짐성에서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ridge made from different Korean rice varieties, including high yield tongil-type rice. The rice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were 4 tongil-type (Areum, Namcheon, Hanareum3, Hanareum4) and 5 japonica-type rices (Unkwang, Daebo, Goami4, Dodamssal and Hwaseonchal). The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of the varieties ranged from 6.0% (Namcheon) to 7.3% (Hanareum3) and from 5.0% (Hwaseonchal) to 42.8% (Dodamssal). Compared to the other varieties, Hwaseonchal and Dodamssal had low final and setback viscosity values in the rapid-visco analyzer test. The color value of the porridge ranged between 52.90 and 71.12 for the L value, -2.06 and -1.01 for the a value, and -5.59 and -2.62 for the b value. SEM images revealed distinct differences in the endosperm structure of rice varieties as well as the porridge. Furthermore, porridge made from Hwaseonchal rice had the highest spreadability, followed by porridge made from others non-glutinous rice varieties, Goami4 rice, and Dodamssal r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could be effectively used to control the viscosity of rice porridge. In laboratory experiments, the sensory test did no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the mouthfeel. The mouthfeel of the porridge depended on the amylose content of rice. This study suggested that tongil-type rice variety such as Hanareum4 could be substituted with Japonica type rice for making porridge.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저자
  • Eun-Yeong Sim(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심은영 Corresponding author
  • Ji Yoon Lee(Paddy Crop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이지윤
  • Jun Hyeon Cho(Paddy Crop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조준현
  • Mi-Ra Yoon(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윤미라
  • Ji-eun Kwak(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곽지은
  • Nam-Geol Kim(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김남걸
  • Yong-hee Jeon(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전용희
  • Choon-Ki Lee(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이춘기
  • Jeom Sig Lee(Division for 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RDA) | 이점식
  • Ha-Cheol Hong(Post-Harvest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홍하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