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of Demented Old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30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시설에서 요양 중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정서적인 안정과 손 기능은 물론 인지기능을 강화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원예활동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과 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은 9.71점에서 9.21점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감소되었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0.86점에서 실시 후 12.43점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유의하게(p=.009) 향상되었다. 그리고 인지기능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은 10.57점에서 9.07점으로 인지기능이 떨어졌으나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0.43점에서 실시 후 13.29점으로 인지기능이 유의하게(p=0.003)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치매노인에게 식물을 매개체로 하는 다양한 원예활동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of demented old adults i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ng BADL,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decreased from 9.71 to 9.21 in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p=.009) from 10.86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12.43 after the therap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ng K-MMSE, the score decreased from 10.57 to 9.07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s from 10.43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to 13.29 after the therapy(p=.003). As presented above, the horticultural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of demented old adults.

목차
1 . 서언
 II. 재료 및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Literature cited
저자
  • 윤숙영(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치료학과)
  • 김홍열(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치료학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