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도의 불교의례와 그 변용 -인도와 한국 불교를 중심으로- KCI 등재

Indian Buddhist Ritual and its Transformation focused on Indian and Korean Buddh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8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논문은 인도 불교의례의 기원과 요소, 불교의례의 변용과 연구대상에 대해 다룬다. 불교의례는 초기불교에 나타난 경배, 귀속, 공양, 수행, 유행, 붓다장례, 합송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붓다에 대한 경배와 호칭, 붓다와 성자의 귀속문제 그리고 수계식, 의식주와 각종 필수물의 공양 이외에 꽃, 향 등의 공양, 수행과정에서의 의례와 유행 동안에서의 의례, 붓다의 사후의례와 장례문화, 경전의 합송과정에서 암송절차 등은 의례집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불교의례의 요소는 시간적ㆍ공간적ㆍ대상적ㆍ내용적ㆍ구조적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시간적으로 공양ㆍ포살ㆍ법회, 생전과 사후의 의례로 구분되며 작법절차도 시간에 관련된다. 공간적 요소로는 승가를 위한 공간, 재가를 위한 공간, 절 안과 절 밖, 수계단, 열반 이후 사리탑과 불국토 등이 주요의례 요소가 된다. 내용별로는 승가생활의례ㆍ삼귀의 ㆍ예경ㆍ수계 등의 자행의례(自行儀禮)와 앙굴리말라의 순산기도 등의 타행의례(他行儀禮) 등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예경대상과 선행공덕에 의한 생천 구조를 불교의례에서 지속하고 있다.
한편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 흐름에 따라 불교의례와 관련한 의례도구, 의식법, 내용과 주체자도 점차 변천해 왔다. 그런 맥락에서 살펴보면, 불교의례는 물리적 불교의례용구의 연구와 시기별 구분에 의한 연구, 설행단(設行壇), 불국토, 신중 거주처, 공간배치, 장엄공간 등과 관련한 연구들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내용을 중심으로 각종 재와 각청, 참석대중과 절차 등에 관해서도 연구 되어야 한다. 특히 연구 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기원과 변용, 번역과 사전작업, 의례비교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왜냐하면 현재 불교의례는 초기불교, 대승불교의 다양한 의례기원과 요소를 포함하고 변용되어 왔기에 경전을 통해 인도의 불교의례를 이해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origin and element of Indian buddhist rituals, changes of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ce and addresses objects of study in relation with buddhist ritual and its transformation.
The buddhist ritual can be trace back to worshipping the Buddha and problem on belonging of the Buddha and Elders, offering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flowers and fragrance, ritual of buddhist practice, wandering, Buddha’s funeral after his death and recitation of discipline and canons,
Buddhist ritual’s elements could be divided into the time, lace, object, content a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time we could divide according to offering, Uposatha, Dharma talk, ritual in buddha’s living and after his death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ceremon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place main elements of buddhist rituals could be thought about the place for buddhist Saṅgha or believers and in or out of temples, stupas and buddha-land after buddha’s death.
According to contents, ritual for oneself, namely the ritual of buddhist community’s life, three refuges, worship, ordination etc. and ritual for others, namely Aṅgulimālā’s prayer for pregnant’s safe delivery appeared in buddhist Canons.
Understanding today’s Korean buddhist ritual we need to study on buddhist ritual materials, time division of ritual, ritual places, constitutions of the place etc. and various and partisan, process of rituals in Indian buddhist Canons.
In order to expand research field, we need to study on the origin of sectorial approach, transformation and translation, making dictionary and comparative study of buddhist ritual. we need to understand Indian buddhist rituals in Pali and Sanskrit, Chinese and Tibetan Canons.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인도의 불교의례
 Ⅲ. 불교의례의 변용과 연구대상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백도수(능인대학원대학교) | Paek Do-Su (Nungin Univ. of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