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후화된 플로팅도크의 잔류 구조강도 평가 KCI 등재

Estimation of Residual Strength for an Aged Floating Doc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70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신조 방식의 제조업의 특성상 경기 사이클이 존재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이를 대처할 동반 산업이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분야가 수리조선업 분야이다. 수리조선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플로팅도크가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대부분 노후화된 플로팅도크를 해외로부터 수입한 후, 개/보수를 통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연한이 최소 30년 이상이고, 운용 시 특정 선급에 입급을 시키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지침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된 플로팅도크의 계측한 두께 정 보를 활용하여, 구조강도 검토를 수행하고, 운용중인 플로팅도크의 잔류 구조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결과들은 유사 설비의 구조 안전성 검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개/보수 시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면 빠른 시간 내에 최적 해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its nature the manufacturing industry faces a cyclical economy, and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ompanion industry to cope with this cyclic pattern in the long run. The sector suitable for meeting this demand is the repair and shipbuilding industry. In order to operate a shipbuilding repair business, a floating dock is indispensable, and most obsolete floating docks were imported from overseas and operated through repair/maintenance. However, there is no precise guideline for floating dock safety, and most models have been in use for at least 30 years without being required to enter classification at the time of operation. In this study, structural strength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measured thickness information of aged floating docks, and the residual structural strength of floating docks in operation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referred to as guidelines for the review of the structural safety of similar equipment, and it is expected that an optimal solution will be found within a short time using this method for repair/maintenanc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플로팅도크 두께 계측
  2.1 잔존 두께 계측
 3. 유한요소해석
  3.1 모델링 및 경계, 하중 조건
  3.2 최소두께 허용치와 허용응력
 4. 결과 평가
  4.1 플로팅도크 구조 강도해석 결과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References
저자
  • 서광철(목포해양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Kwang-Cheol Seo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Mokop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홍태호(목포해양대학교 항해정보시스템학부) | Taeho Hong (Division of Navigation & information systems,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박주신(삼성중공업 중앙연구소) | Joo-Shin Park (Central Research Institutes, Samsung heavy industrie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