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인 취업과 관련된 사업주의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보조공학 서비스 인식 KCI 등재

The Actual Demand and Use Pattern of Assistive Devices among Employers Hiring Workers with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을 희망하거나 현재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보조 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수요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8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으며, ‘고용정보 시스템ʼ에 구인 등록한 사업체중 정보 공개를 한 1,054개 업체를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회수방법은 우편발송과 이메일이었고, 우편발송 회수율은 13%, 전자메일 회수율은 10.7%였으며 최종적으로 121개 업체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사업주는 36.3%(44개 업체)이었으며,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보조공 학기기는 사무보조 품목 17건, 정보접근 품목 25건, 작업기구 품목 80건, 의사소통 품목 2건이었다. 보조공학기 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없는 사업주 77명(63.6%)중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제도를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35.1%뿐 이었고, 향후 서비스 이용의사가 있는 경우는 58.4%에 불과하였다. 사업주가 보조공학기기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효과성, 편안한 사용과 안전성이었다.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는 사항은 지원예산확대, 기기품목 및 종류 확대, 직장 내 환경의 종합적 평가 및 지원 등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사업주들의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기기 서비스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보조공학기기 제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 아니라, 향후 이용의사도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업주가 가장 원하는 보조공학서비스 내용은 지원예산 확대와 기기품목 및 종류확대였다. 따라서 장애인고용 촉진공단은 사업주를 대상으로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높여 그 활용을 장려해야 할 것이며, 좀 더 다양한 품목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작업치료사 역시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보다 많은 관심과 책임을 가지고 작업치료를 제공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actual demand and use pattern of assistive devices among employers hiring workers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1054 enterprises registered in a ʻJob Information Systemʼ. The question retrieval method is post and e-mail. The post retrieval ratio is 13% and the e-mail retrieval ratio, which became clogged down, is 10.7%. Finally, the questionnaires of a total of 12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to December, 2008. Results : Employers (36.3%) who experienced assistive device support are currently using 17 items of office assistance, 25 items of information access, 80 items of work utensils, and 2 items of communication. They also expressed additional support demand for 5 items of both locomotion and ADL, 3 items of visual devices, 2 items of both hearing and hand devices, and 1 item of communication. The percentage of recognition of the Assistive Technology Center among the employers (63.6%) who did not experience assistive device support was 31.5%, and 58.4% of the employers replied that they will us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When they choose an assistive device, they consider its effectiveness, handiness, and safety. Employers want a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to expand the support estimate, expand the equipment type, number, and assessment, and support the work place environment. Conclusion : We identified that employer service utilization of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Assistive Technology is low. Not only did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but their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was also low. They believe that important Assistive Technology matters are a support estimate, and expanding the equipment type and number. So, in order to use Assistive Technology, KEPAD must make employers recognize Assistive Technology.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설문 응답자의 특성
  2. 사업주의 보조공학서비스 지원받은 경험과 보조공학 센터 서비스제도 인식 및 향후 사용의사
  3.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사업주의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4. 사업주의 보조공학기기 추가지원 요구품목
  5. 사업주의 보조공학기기 지원받은 경험 없는 이유
  6. 사업주의 보조공학기기 선택 시 고려사항
  7. 사업주가 원하는 보조공학서비스 내용
  8. 사업주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환경 및 주위지원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민예 | Jung Min-Ye
  • 박혜연 | Park Hae-Yeon
  • 김정란 | Kim Jung-Ran
  • 양노열 | Yang No-Yul
  • 유인규 | Yoo In-Gyu
  • 엄희영 | Yum Hee-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