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장애인의 직업 유지를 위한 인간작업모델 (Model of Human Occupation)의 임상 적용: 사례 연구 KCI 등재

Clinical Application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on Job Reten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 Case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서론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직업 유지 과정과 어려움을 파악하고, 개입 방법을 소개하여 향후 시각장애인의 직업 적응과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 :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안마사로 취업한 시각장애인 근로자 1명을 대상으로 인간작업모델에 기초한 면담과 작업환경인식평가(Work Environment Impact Scale)를 실시하였고, 대상자가 취업한 업체의 사업주와 관리자 각 1명씩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인간작업모델의 치료 전략을 활용하여 개입하였고, 개입 후 면담과 사후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각장애인의 작업환경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직업재활 과정에서 인간작업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대상자를 보다 전인적이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대상자를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여 작업치료서비스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 시키고, 관련 영역을 확대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troduction :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this study identifies the barriers to job retention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suggesting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job retention and work adjustment of the visually impaired. Body : From March to November of 2009, MOHO-based interviews and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one visually-impaired massage therapist. Further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herapist's employer and supervisor in order to identify work-related problems. Next, a MOHO strategy was used as a method of problem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one-on-one interviews and post-evaluat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which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work environment awareness of the visually impaired subject. Conclusion : Applying the MOHO in the process of work rehabilitation forms a basis for judging the subject in a holistic and general way, changes how the subject is viewed, suggests various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fessionalism and qualities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and may help expand the range of other relevant area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1. 연구 방법
  2. 사전 평가 및 면담
  3. 개입
  4. 연구 결과
  5. 고찰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효성 | Lee Hyo-Seong
  • 염희영 | Yeum Hee-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