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불안수준간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of Sensory Processing Skill and Anxiety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불안을 일반아동과 비교하고,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ADHD 아동과 감 각처리에 문제가 없는 ADHD 아동과의 불안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감각처리 능력이 불안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10월 4일부터 2011년 1월 14일까지 K시에 소재한 소아정신과 2곳에서 ADHD로 진단받은 만 7~9세 아동과 K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감각처리능력과 불안 설문 지를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은 Short 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으며, 불안은 한국형 소아 상태 및 특성 불안 척도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총 150부를 방문 및 우편 배부하여, 102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 ADHD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더 보였으며, 불안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의 성별, 연령, 유형에 따른 감각영역과 불안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불안은 시각/청각 민감성, 활력부족/허약, 과소반응/특정자극 찾기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 시각/청각 민감성은 특성불 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태불안은 감각영역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각처리에 어려움 이 있는 ADHD 아동은 그렇지 않은 ADHD 아동보다 특성불안에서 불안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태 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불안은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으며,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은 불안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ADHD 아동을 평가하고 치료할 때 감각처리와 불안간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sensory processing and anxiety between children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and normal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sensory processing skill is related to anxiety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 : The data were provided using 102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9. Forty-four children with a diagnosis of ADHD were recruited through two departments of child psychiatry, and 58 normal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elementary schools from the same city. A Short Sensory Profile was used to assess their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was used to assess their level of anxiety.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with ADHD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significantly lower sensory processing skills than normal childre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anxiety were found across gender, age, or type of ADH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rait anxiety and visual/auditory sensitivity, low energy and weakness, under responsive and ‘seeks sensation’,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tate anxiety and sensory processing skills. Children with ADHD who have low sensory processing skills demonstrated a higher trait anxiety than children with ADHD who exhibited no difficulty in sensory processing. Conclusion :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anxiety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kills are related to anxiety in children with ADHD. Therefore,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anxiety in evaluating and provid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자료수집
  2. 연구 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집단에 따른 감각처리 및 불안수준의 차이
  3. ADHD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각처리 및 불안수준
  4.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이 불안수준에 미치는 영향
  5.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없는 ADHD 아동과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ADHD 아동간의 불안수준의 차이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세연 | Kim Se-Yun
  • 박수현 | Park Soo-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