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와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의 공헌: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수잔 드 디트리히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nging Ecclesiolog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Contribution of the Women in Ecumenical Pioneers to 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8908
  • DOIhttps://doi.org/10.22254/kchs.2019.53.0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변혁기마다 여성들은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장 앞장서서 창조적인 사역의 길을 개척하고 여성공동체를 형성하여 교회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성장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교회가 안정화되면, 여성들만의 특수성을 가졌던 여성공동체는 전체공동체에 흡수 혹은 통합됨으로써 여성들이 다시 소외되는 역사를 반복하였다.
본 글은 여성공동체가 ‘창의적 사역 개척 – 여성공동체 형성 – 통합위원회로 변화 – 여성의 특수성 약화’라는 역사의 순환을 반복했기 때문에 교회 안에서 여성의 참여가 안정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 현상은 오늘날 교회에서 여성, 청년, 장애인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입지가 약화 되는 상황에서,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성찰과 에큐메니칼 대화를 통해 여성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을 동시에 전개 하면서 세계교회협의회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 결과, 교회에서 여성의 활동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평신도 신학을 정립하여 20세 교회론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인 지도자는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그리고 수잔 드 디트리히가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평가는 미미하다. 그 이유는 이들 역시 여성위원회를 평신도분과로 변경하여 남성과 여성이 함께 하는 통합공동체를 기대했으나, 다시 부서가 남성 위주의 조직으로 변경되어 오히려 여성의 입지가 축소되고, 여성 사역의 토대마저 다시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성의 권위가 신장된 공동체라고 하더라도 여성위원회의 존립은 매우 중요하다. 본 글은 세계교회협의회 임시위원회(1938)부터 에반스톤 중앙위원회 (1955)에 이르기까지 여성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에큐메니컬 운동을 연대순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세계교회협의회 집행위원회 또는 중앙위원회의 회의록, 세계교회협의회 문서보관소 및 세계 YWCA 문서보관소에 있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글의 결론으로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완전하고 동등한 참여를 위해서는, 여성공동체는 전체 공동체의 일치를 보호하고, 전체공동체는 여성 공동체의 특수성을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성숙한 관계 형성과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사역 참여는 진정한 교회 개혁의 가시적인 표현이며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기독교 문화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roughout history, women have been more sensitive than anyone else in a rapidly changing era, pioneering creative ministry; and they formed a women's community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hurch. However, once the church has stabilized, the women's community, which had had its own peculiarities, came to repeat the history of re-alienating women by being absorbed or integrated into the whole community.
This article argues that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hurch has not been active because the women's community repeated the cycle of “pioneering creative ministry - forming a women's community-merging into a whole committee-weakening the peculiarity of women.” and the same pattern was found 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hich is known to emphasize the empower of women, youth and the disabled today. Nevertheless, Women ecumenical pioneer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rough joint reflection and ecumenical dialogue based on trust. They were Sarah Chakko, Kathlee Bliss, Madeleine Barot and Suzanne de Dietrich etc. The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hange of ecclesiology and missiology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chronologically reviewed the ministry of the women committee during the period from the Provisional Commission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1938) to the Central Committee of Evanston(1955). To do this, it surveyed the minutes of the Executive Committee or Central Committee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ith documentation and reports 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rchives and World YWCA Archive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for the full and equal participation of men and women in the Churches, the women's community should protect the unity of the whol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the whole community should seek the ways to maintain the uniqueness of the women's community. The matur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en in the Churches and the equal participation of the work of the church will be a visible expression of the genuine church reformation and help to create a new Christian culture in the new era.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와 여성들의 대응
    1. 세계교회협의회 태동기(1910-1937)
    2. 세계교회협의회 임시위원회 시기(Provisional Committee, 1938~45)
    3. 세계교회협의회 준비위원회 시기(Planning Committee, 1946~48)
    4. 세계교회협의회 형성기(World Council of Churches, 1948-54)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김은하(장로회신학대학교) | Kim Eun-Ha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