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라오스 대나무 신규소득모델의 효과성 분석: 농부아 마을을 대상으로 KCI 등재

Effectiveness Analysis on New Bamboo-based Income System of Lao PDR: Case Study of Nongboua Mountain Vill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1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라오스 산촌마을의 기초 소득을 조사·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대나무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소득 모델의 효과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비엔티안 캐피털 주의 쌍통군 농부아 마을로써 산림과 벼농사지역이 혼재된 자급자 족형 논농사 위주의 마을이다. 농부아 마을은 과일, 야채 등 상업적 영농활동은 전무하여, 단순한 소득체계를 가지고 있다. 우기(6월~11월)는 천수답 벼농사에 의존하고 있고, 건기(12월~5월)는 가축 판매 또는 대나무 벌채를 통한 수익체계로, 2018년 농부아 마을의 기존 소득은 평균 1,456 달러로 분석되었다. 라오스 1인당 GDP (2018)가 2,690 달러와 비교할 때, 농산촌 지역의 소득은 GDP의 약 절반가량 수준 이다. 쌍통군 지역의 대나무 수종은 젓가락, 이쑤시개 등 원자재로서 베트남 가공회사로 판매되고 있다. 가공회사는 수익을 위해 수요량에 따라 마을 주민을 고용하여 다량의 대나무를 벌채하고 있다. 이러한 대나무벌채는 빠르고 수익성은 있지만, 회사 수요(농한기 한정)에 따라 비정기적으로 마을주민을 고용(하루 고용비용 $ 11; 고용시간 8시간)하며 노동 강도가 높 다. 또한 대나무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마을주민의 대나무 단순벌채로 인한 연 소득은 $ 552로 분석되었다. 소규모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대나무를 이용한 지역상품을 개발·생산하여 기술전수 및 판매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대나무 벌채와 비교하여 적은 양의 대나무를 이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노동 강도가 높지 않아서 여가시간에 작업공정이 가능하다. 표본 10 가구의 생산량은 초기단계에서 하루 최대 6개가 생산가능하며, 제품 단위가격을 $ 2.3로 책정할 때, 연 소득은 $ 1,160 으로 분석되었다. 기존 모델의 소득(농업+대나무 벌채)은 평균 $ 1,456이며, 신규모델의 소득(농업+대나무 공예품)은 평균 $ 2,064로 신규 소득이 $ 608 높게 나타났다. 기존소득과 신규소득의 농업 수 입이 동일한 조건이므로, 소득에 차이를 주는 요인은 대나무 수입으로 신규 소득의 평균 $ 2,064가 기존 소득인 $ 1,456 보다 약 42% 증가된 수치로 나타났다.

The Lao PDR is a developing country that heavily relies on rice farming. During off-season of rice farming, rural villagers produce non-timber forest products such as bamboo products. Until recently many villages have overexploited bamboo resources and supplied raw bamboo materials to foreign companies. Although the Lao government allocated harvesting quotas, most villagers keep on cutting bamboos due to no other income during the off-season. This study provides an alternative income model, bamboo handicraft, that can increase villagers’ income while minimizing the use of bamboo resources. It also access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new income model for a mountain village, Nongboua village, where surveys were conducted on general incomes of 10 sampl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new income model voluntarily. A difference was made during the off-season when the sample families worked on cutting bamboos (previous income) or bamboo handicrafts (new income). A daily wage of $ 11.5 was used for the previous income, based on our surveys. For the new income, it was assumed that single family could produce 6 bamboo handicrafts daily with a unit price of $ 2.3, resulting in a daily income of $ 13.8. During the off-season, 8 and 14 working days in a month were assumed for the previous and new incomes based on surveys. Then the previous previous and new yearly incomes were estimated and compared using normality and paired t-tests. This study found that the new yearly incom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previous yearly income (p < 0.001): the former (rice farming and bamboo handicraft, $ 2,064) was 42% ($ 608) greater than the latter (rice farming and bamboo cutting, $ 1,456).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new income model could increase villagers’ income significantly. If the bamboo handicraft model is applied for other areas with bamboo resources,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rural economies and livelihoods of developing countries.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지
    현장자료 수집 및 농업소득 분석
소득 시나리오 설정
    1. 대나무 판매 수
    2. 새로운 소득모델: 대나무 수공예품 생산
    자료 분석 및 통계 방법
결과 및 고찰
    신규 대나무 소득원의 적용에 따른 소득 비교
    새로운 소득원의 적용에 따른 효과성 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보휘(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Bohwi Lee (Dep.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학준(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Hakjun Rhee (Dep.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상진(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Sang-jin Lee (Dep.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hayvanh Alounsavath(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이준우(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Joon-Woo Lee (Dep.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구승모(충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Seungmo Koo (Dep. of Agricultural Econom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세빈(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Sebin Kim (Dep.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