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즈베키스탄 감자산업 및 국산 감자품종의 적응성 평가 KCI 등재

Potato Industry of Uzbekistan and Evaluation Adaptability of Korean Potato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1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1. 우즈베키스탄의 감자 재배면적은 2006년 52,590ha에서 2016년 84,142ha로 최근 10년 사이 60% 늘었으며, 생산량은 2006년 1,021천 톤에서 2016년 2,925천 톤으로서 3배 이상 증가하였다. 2. 단위면적당 수량(/ha)은 2006년 19.4톤에서 2016년 34.8 톤으로 15.4톤 증가하였으며, 이는 유럽산 상위단계(elite 및 super elite급) 씨감자의 수입이 늘었기 때문이다. 3. 감자 수입은 2006년 6,912톤에서 2013년 18,446톤으로 7년 사이 11,000톤 이상 증가한 반면, 수출은 2006년 112톤에서 2013년 64톤 내외로 크게 감소하였다. 4. 톤당 수입가격은 591.6불로서 수출가격인 339.3불보다 1.7배 고가이며, 이는 고품질 상위단계 씨감자의 수입에 반하여, 저가의 일반식용 감자가 수출되기 때문이다. 5. 우즈베키스탄에 공식 등록 감자 품종수는 73종(2013년 기준)으로서 네덜란드산 45종, 독일산 11종, 폴란드산 2종, 러시아산 1종, 및 자체 육성 14종이 있으나, ‘산테’, ‘피카소’ 등 유럽산 수입 품종들이 우점하고 있다. 6. 감자 주된 생산작형으로는 남부 평난지의 봄 가을 2기작과, 고랭지에서의 여름 단작이 있다. 7. 우리나라 감자 13품종의 현지 생육특성 평가 결과, 현지 품종 대비 경장이 짧고 주당 괴경수와 괴경수량은 적었던 반면 괴경의 평균 무게는 무거웠다. 국산 품종에서 고온 고염 등 환경스트레스에 의한 생리장해 발생이 많아 향후 현지 진출을 위한 품종 선발 시 내서성 등의 검토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8. 상위단계 씨감자 가격이 고가임에 따라 농가의 자가 채종이 늘면서 씨감자의 퇴화가 심하여, 고품질 씨감자에 대한 농가 및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ODA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 으로 전망된다. 9. 또한 우즈베키스탄 감자분야의 실질적 발전을 위해서는 수확 전·후 관리기술 및 주요 거점지역 중심 저장시설 개선을 통한 저장 중 높은 감모율의 경감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otato cultivation area in Uzbekistan was increased by over 60% from 52,590 ha in 2006 to 84,142 ha in 2016. During the same periods, the amount of potato production was increased by over three folds and the average yield per ha was increased 80%, respectively. This result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import and supply of European virus-free seed potato by macro seed companies. The potato import volume was increased rapidly from 6,912 tons in 2006 to 18,446 tons in 2013, while the export volume decreased from 112 tons in 2006 to 64 tons in 2013. Around 30,000 tons of virus-free seed potato (elite or super elite level) per year are supplied by government (under 1%), by macro import companies (over 90%), and by small import company (including commercial seed potato production farmers, 9%). The low self-sufficiency rate and the steady increasing price in the seed potato are expected to be a severe problem to farmers as well as government. In the southern plains, potato is grown in spring and autumn, while it is only grown in summer at highland. The main challenges during potato cultivation are damaged by early blight, colorado potato beetle, and potato tuber moth. The yield loss rate during storage is very high due to corruption and damages by insects. Meanwhile, most tubers of 13 Korean cultivars grown at Samarkant of Uzbekistan were damaged by physiological disorders due to environmental stress such as high temperature or salin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tato cultivars with resistance against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stress is one of the important prerequisites for ODA or export of Korean potato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yield loss through the technical support on post-harvest management along with an improvement of storage facilities within the major potato production regions.

목차
ABSTRACT
감자 재배 및 생산 동향
감자 수출입 및 소비 동향
씨감자 생산 및 공급체계
재배 품종 현황
생산 작형 및 주요 병해충
우리나라 감자 품종의 현지 생육특성
    시험재료 및 방법
    시험결과 및 고찰
향후 전망
적 요
REFERENCES
저자
  • 임주성(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Ju Sung Im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Corresponding author
  • 박영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Young Eun Park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조지홍(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Ji Hong Cho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장동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Dong Chil Chang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최장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Jang Kyu Choi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박현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Hyun Jin Park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서진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Jin Hee Seo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이규빈(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Gyu Bin Lee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천충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Chung Ki Cheun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이종남(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Jong Nam Lee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