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완구 형태 유형에 따른 성별, 연령별 몰입도 차이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Immersion degree by Gender and Age according to the Form-type Baby Toy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484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9.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오늘날 유아들은 성장함에 따라 신체적인 발달과 함께 인지력, 지적능력, 사고력 등 많은 능력이 발달하고 있다. 이 시기에 유아들의 상상력과 사고력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이 그들이 사용하는 놀이기구나 완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부모는 유아들에게 지적능력이 높은 완구의 제공과 함께 성별, 연령별 그에 적합한 인지발달에 도움을 주는 완구를 선택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지적능력 사고력이 높은 완구개발에 기초로 활용하고자 한다. 7가지 유형별 완구를 대상으로 유아들에게 30분의 놀이를 진행한 후 그를 관찰하고 측정한다. 실험 준비물로는 ① 7가지 유형별 완구 ② 관찰기록지 ③ 자료입력 노트북 ④ 자료정리 엑셀프로그램 ⑤ 통계분석 SPSS 12.0 사용하여 분석한다. 실험 결과로는 첫째, 7가지 유 형별 완구가 성별에 따라 몰입도 차이 정도를 분석한다. 둘째, 7가지 유형별 완구가 연령별에 따라 몰입도 차이 정도를 분 석한다. 셋째, 몰입도의 차이 정도를 분석하고 원인을 규명해 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7가지 유형별 완구의 사고력에 의한 지적능력이 뛰어난 완구의 유형은 어떠한 것들이며, 성별, 연령별 차이에 따라 어떠한 차이와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차후, 완구 선택에 있어서 사고능력 개발과 건강한 자아실현을 추구할 수 있는 완구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 lot of ability of children today as cognitive skill, intellectual capacity, and thinking skill are developing with physical development as they grow. New experience that can stimulate imagination and thinking skill of infants is being realized through the rides or toys they use. Therefore, parents need to provide highly intellectual capacity toys to infants and select toys that help the cognitive development by gender and age. Also, based on this, we will use it as a basis for developing toys with high intellectual capacity and thinking skills. This study observes and measures infants after 30 minutes of playing 7 types of toys. Experiment supply includes ① 7 types of toys ② observation chart ③ data entry notebook ④ Excel for organizing data and ⑤ statistical analysis SPSS 12.0 for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difference in immersion degree of 7 types of toys by gender.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difference in immersion degree of 7 types of toys by age. Thirdly, analyze the degree of difference in immersion and find out the caus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which type of toys stimulate differentiation in intellectual capacity by thinking skill, and to complete the basic data of development of toys that can develop thinking skill in the selection of toys and enable infants to reach healthy self-realization.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지적능력 완구의 역할
3. 관찰 실험
4. 실험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승용(광주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융합디자인학부) | Lee Seung 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