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경형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코엑스몰 내 결절점에서의 길찾기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Wayfinding in the One of Nodes in Coex-mall Using Eye-tracking Gla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498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9.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대규모 지하공간은 다양한 내부공간의 계획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게된다. 띠라서 사용자에게 길찾기에 어려움을 줄뿐 아니라 경로 예상 측면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코엑스몰은 2014년에 리모델링이 이루어졌으며, 기존에 코엑스와 관련한 공간의 물리적 환경요소와 길찾기의 관계와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여전히 서울의 3대 미로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경형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보행환경요인의 연속성을 토대로 경로에 따른 시지각 데이터를 실험 분석하여 안내체계와 결절점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인 시지각 인지와 연결성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방향성을 도출하여 원할한 길찾기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안경형 시선추적 장비를 활용하여 코엑스몰 ‘별마당 도서관’의 안내체계에 대해 실험참가자 총 25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첫째, 그리드 관심영역(Gridded AOI)설정과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지표로 실험참가자들이 공간에서 어디를 보는지(Entry time, Glance counts), 얼마나 보는 지(Net dwell time), 그리고 얼마나 다시 보는지(Revisits)를 위해 데이터를 분류하고 추출하여 시각화(Visualization)하였 다. 둘째, 시선고정빈도(Fixation Count)와 평균시선고정(Average Fixation)으로 보는 것에 따라 평균 시간과 빈도 값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길찾기에서 결절점 역할을 인지하는 과정을 데이터로 추출하여 사인 정보 인식체계에서 경로 유형 선택 과정을 도출하였다. 이는 향후 대형 지하복합공간 디자인계획에서 방문자 중심의 공간정보인 지체계 개발 시스템에 기초적 디자인 방법론의 유형으로 제안한다.

Large scale underground spaces have complex structures. Thus, such large scale underground spaces are not only difficult for users to navigate but a lot of effort has to be put into aspects of path prediction as well. The Coex mall went through remodeling construction in 2014. While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that mention the close relationship and effects between path finding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elements of space with regard to Coex, even after renewal, Coex is considered one of Seoul’s three major mazes. Therefore, this study utilizes Eye-tracking Glasses to test and analyze visual perception data according to paths based on the continuity of walking environment factors, verifies connections among detailed visual perceptions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guidance systems and node points, and deduces associated directionality to search for smooth path finding. The research method performed analysis on the data of 25 test participants regarding the guidance system of the ‘Byeolmadang Library’ in the Coex Mall using spectacle-type eye tracking equipment. For data analysis, first, using Gridded AOI settings and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indexes, data was categorized, extracted, and visualized to see where in the space test participants were looking (Entry time, Glance counts), how long they looked there (Net dwell time), and how much they looked again (Revisits). Second, mean time and frequency valu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what they saw using Fixation Count and Average Fixation. Conclusively, this study extracted data regarding processes that recognize node roles in path finding within a space and deduced path type selection processes in sign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s. This is presented as a basic design methodology for visitor-centered space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development systems in the design planning of large-scale complex spaces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실험 및 데이터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민자경(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디자인이노베이션 전공) | Min Jakyoung
  • 김주연(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실내건축학 전공) | Kim Ju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