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규모 지하공간은 다양한 내부공간의 계획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게된다. 띠라서 사용자에게 길찾기에 어려움을 줄뿐 아니라 경로 예상 측면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코엑스몰은 2014년에 리모델링이 이루어졌으며, 기존에 코엑스와 관련한 공간의 물리적 환경요소와 길찾기의 관계와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여전히 서울의 3대 미로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경형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보행환경요인의 연속성을 토대로 경로에 따른 시지각 데이터를 실험 분석하여 안내체계와 결절점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인 시지각 인지와 연결성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방향성을 도출하여 원할한 길찾기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안경형 시선추적 장비를 활용하여 코엑스몰 ‘별마당 도서관’의 안내체계에 대해 실험참가자 총 25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첫째, 그리드 관심영역(Gridded AOI)설정과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지표로 실험참가자들이 공간에서 어디를 보는지(Entry time, Glance counts), 얼마나 보는 지(Net dwell time), 그리고 얼마나 다시 보는지(Revisits)를 위해 데이터를 분류하고 추출하여 시각화(Visualization)하였 다. 둘째, 시선고정빈도(Fixation Count)와 평균시선고정(Average Fixation)으로 보는 것에 따라 평균 시간과 빈도 값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길찾기에서 결절점 역할을 인지하는 과정을 데이터로 추출하여 사인 정보 인식체계에서 경로 유형 선택 과정을 도출하였다. 이는 향후 대형 지하복합공간 디자인계획에서 방문자 중심의 공간정보인 지체계 개발 시스템에 기초적 디자인 방법론의 유형으로 제안한다.
        2.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 전통 차는 종류가 다양하고 맛도 다르기에 사람들은 차를 맛보기 전에 차의 맛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인간은 간접적으로 미각 정보를 느낄 수 있으며, 시각화라는 정보 전달의 효과적인 수단을 통하여 복합적인 중국 전통 차 맛에 대하여 이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각 정보를 시각화, 조직화 하는 것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중국 전통 차의 미각의 시각화를 제안하였으며, 해당분야에서 중국 전통 차의 미각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정보의 시각화를 통한 방법으로 차의 미각 표현에 주목하였다. 중국 전통 차의 맛은 감칠맛(Umami), 단맛(Sweet), 쓴맛(Bitter), 떫은맛(Astringent)의 4가지가 있으며 이에 따른 독특한 식감과 향기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과 미각의 연관성 에 기반하여 중국전통차의 다양한 맛을 시각화 하는 방법을 정보디자인 관점으로 모색하였다. 시각화 방법 관련의 선행연 구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 차 맛의 특성을 형태로 시각화, 그래프로 시각화, 이미지로 시각화의 3가지로 분류하여 차의 맛에 대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소비자들은 차의 맛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게 되어 취향에 맞는 상품을 고를 수 있으며, 중국의 전통 차의 다양한 맛을 이해함과 동시에 마케팅관점으로 구매 욕구를 상승 시키고 다양한 맛의 대한 디자인을 개발할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