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곶자왈 시험림을 대상으로 식생분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식생구조를 비교하였다. 제주도 내 5개 곶자왈의 식생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중요치, 종다양도 및 지역 간 유사도 지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래 곶자왈을 제외한 4개 곶자왈에서 종가시나무 등 상록활엽수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고, 교래 곶자왈은 주로 낙엽활엽수 혼효림으로 조사되었다. 식생 층위별 종 다양도 지수는 교목층에서 교래 곶자왈이 1.052로 가장 높았고, 선흘 0.739, 저지 0.629, 청수 0.353, 무릉 0.316 순으로 분석되었다. 아교목층은 저지(0.927)와 교래 곶자왈(0.914)이 가장 높았고, 관목층에 서는 선흘 곶자왈이 0.932로 종다양도가 가장 높았다. 지역 간 유사도 지수는 무릉, 저지, 청수 곶자왈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유사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종가시나무 등 상록활엽수의 우점도가 높은 특성으로 인해 식생의 구조적인 유사성이 높은 점과 지리적으로도 인접한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대상지 5개 곶자왈 지역은 식생 층위 구조의 균형을 도모하고 종다양도 증진을 위해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전략적 관리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compared the vegetation structures of Gotjawal experimental forests,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e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eju Island. We analyzed the importance value index (IV), species diversity index (SDI), and similarity index (SI) of five different Gotjawal forests using vegetation survey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broadleaved tree species such as Quercus glauca Thunb. ex Murray dominated with high IV values in four Gotjawal forests except for Gyorae Gotjawal forest, which was dominated by deciduous broadleaf mixed forest. With regard to SDI at each forest stratum such as tree, subt-ree and shrub layers, Gyorae Gotjawal forest showed the highest SDI value in the tree layer (1.052), followed by Seonheul (0.739), Jeoji (0.629, Cheongsu (0.353), and Mureung (0.316). Jeoji and Gyorae Gotjawal forests showed the highest SDI values in the sub-tree layer (0.927 and 0.914, respectively), and Seonheung Gotjawal forst in the shrub layer (0.932). The comparison of SI values among the regions revealed Mureung, Jeoji, and Cheongsu Gotjawal forsts to have relatively high SI values (≥ 0.5), presumably due to their similar vegetation structure with high dominance of broadleaved evergreen trees such as Quercus glauca and their geographical adjacency. Conclusively, the five Gotjawal forests analyzed in this study seem to require regular monitoring and strategic management to ensure a balanced vegetation structure and promote species 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