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색과 정서적 맥락이 생물형운동의 정서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Color and Emotional Context on Processing Emotional Information of Biological Mo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3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적절한 행동을 위해서는 사회인지적 정보 뿐 아니라 다양한 정서 정보의 처리 역시 중요하다. 정서의 처리과정은 자극의 속성 뿐 아니라 다양한 맥락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정서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효과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물형운동자극을 사용한 정서변별과제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 과제에서는 분노, 행복, 또는 중립 정서를 지닌 단서자극과 함께 제시된 빨강, 초록, 흰색, 또는 노란색 중 하나의 색과 분노 또는 행복 정서를 지닌 표적자극을 비교하여, 단서자극에 비해 표적자극이 나타내는 정서를 판단 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정서 중립 자극만을 사용하여 색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표적자극의 특정 색과 정서 간 연합이 관찰되었다. 즉, 빨간색은 분노정서, 초록색은 행복정서 처리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단서자극과 표적자극의 정서가 일치할 때 표적자극 정서의 변별 정확도가 높았으나, 빨간색과 분노정서가 조합된 조건에서는 단서자극 정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표적자극의 색에 의해 착각적인 정서반응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주로 사용된 얼굴자극이 아닌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의 정서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 및 색 요인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가능한 후속연구 및 임상적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It is crucial to process not only social cognitive information but also various emotional information for appropriate social interaction in everyday life. The processing of emotions embedded in social stimuli is affected by various context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features of their own. Emotion discrimination tasks using point-light biological motion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emotion processing and their effects. A target biological motion with angry or happy emotion was presented in the first task in red, green, white, or yellow color. A white angry, happy, or neutral “cue” biological motion was displayed simultaneously. Participants judged the emotion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cue stimulus by comparing the target with the cue. The second task used only emotionally neutral stimuli to find effect by the color itself. The results indicated an association between the specific color of the target and emotion. Red facilitated processing anger, whereas green appeared to facilitate happy emotion. The discrimination accuracy was high when the emotions of the cue and the target were identical in general, but the combination of red color and anger yielded different results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conditions. Some illusory emotional responses associated with the target colors were observed in the second task. We could observe the effects of external factors in this study, affecting the emotional processing using biological motion rather than conventional face stimuli. Possible follow-up studies and clinical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절차
    2.1. 실험참가자
    2.2. 실험 자극
    2.3. 실험 과제
3. 연구 결과
    3.1. 생물형운동자극의 정서변별과제
    3.2. 정서중립 생물형운동을 이용한 비교과제
4. 논의
    4.1. 생물형운동자극 정서변별과제의 결과
    4.2. 정서중립자극을 사용한 비교과제의 결과
    4.3. 종합논의 및 요약
    4.4. 제한점 및 후속연구 제안
REFERENCES
저자
  • 김제중(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Jejoong Kim 교신저자
  • 김유리(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임상심리/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Yuri Kim
  • 조은의(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Eunui 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