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산간고랭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KCI 등재

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the Southern Alpine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남부 산간고랭지인 운봉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02~~2004 년에 삼천벼와 상미벼를 공시하여 적정 이앙시기를 검토하였는데, 이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2. 등숙비율은 삼천벼는 5월 21일 이앙에서 높았으나 상미벼는 조기 이앙할수록 높았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는 5월 21일 이앙에서, 상미벼는 5월 1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다. 4.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조생종은 5월 21일, 준조생종은 5월 1일로 판단된다.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rice and the factor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rice as the proper transplanting time was examined at Unbong the southern alpine area from 2002 to 2004. The rice cultivars tested were Samcheonbyeo (Early maturing one), Sangmibyeo (Sub-early maturing one). The number of spikelets were increased as earlier the transplanting date in all cultivar, The ripened grain rates were highest transplanted on May 21 for Samcheonbyeo, and May 1 for Sangmibyeo. The highest head rice yield was obtained when transplanted on May 21 and May 1 for Samcheonbyeo and Sangmibyeo, respectively.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s according to maturing types with respect to the yield of head rice, ripened grain rates and rice quality were May 21 for early maturing type and May 1 for sub-early maturing type.

저자
  • 이준희(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최원영(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남정권(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상수(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박홍규(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백남현(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최민규(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