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바흐와 오페라, 논의의 시작을 위하여 KCI 등재

Bach and Opera: Opening a Discus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5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이 글은 바흐와 그의 음악을 1700년대를 전후한 독일의 오페라 전통이라는 음악문화 안에서, 또는 그것에 기대어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전통적인 바흐연구는 바흐가 속한 사회적 맥락을 경건과 세속, 또는 교회와 그 외부로 엄밀하게 구분했고, 작곡가를 경건과 교회에 속한 루터교 교회음악가 로 규정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당대 독일, 특별히 라이프치히의 지적, 신학적 담론이 세속과 교회가 구분되는, 그리하여 서로 넘나드는 유동적이고 탄력적이며 다양한 문 화적, 사회적, 신학적 지형을 만들어나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이러한 지형 안에서 당대 작곡가들은 전례음악과 오페라 모두를 넘나드는 작품을 작곡하였다. 이 글의 결론은 바흐 역시 당대의 음악관습에서 예외일 수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illustrate Bach and his music in terms of contemporary operas. Bach scholarship has long been considered Bach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resentative church musicians of the time (or Kantor) whose life and music confined within Orthodox Lutheranism, in a way, intentionally separating him from the musical context in which he worke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ocial, cultural, and theological contexts of Leipzig at that time was rather highly flexible, complicated, and even ambiguous, thereby allowing Leipzig various types of intellectual discourses intermingle from one another. This further provides musicians with a rather expanded notion of church music, leading them to freely join in to work on secular music of the time. Bach, in this regard,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kind of musical culture that they enjoyed.

목차
1. 들어가며
2. 라이프치히 장면 1: 칸토르와 오페라 작곡가
3. 라이프치히 장면 2: 성토마스 교회 내부
4. 라이프치히 장면 3: 라이프치히의 신학적 지형
5. 라이프치히 장면 4: 경건주의가 남긴 것들
5.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
  • 이가영(성신여자대학교) | Ka You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