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n Accommodative Function and Change of Phoria due to Noise Stress KCI 등재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조절기능 및 사위량 변화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6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다양한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적 질환, 수술이력 및 안구운동에 이상이 없는 젊은 성인 60명(23.12±1.26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음에 노출되기 전, 후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최대조절력, 조절반응량, 원-근거리 사위량, 비침습적 눈물 막 파괴시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소음 스트레스에 노출이 된 후에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는 증가하였다. 푸쉬업 및 마이너스렌즈 부가 법으로 측정된 최대조절력과 조절반응량은 감소하였고, NITBUT 역시 감소하였으며, 원-근거리 사위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음 스트레스는 시기능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굴절검사 및 시기능 평가 시 주변 환경에 의한 소음 스트레스가 작용하지 않도록 검사실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from noise on various visual functions.
Methods : Sixty young adults (23.12±1.26 years) with no eye diseases, surgical history, and eye movement abnormalities were involved. Before and after exposure to noise, Perceived Stress Scale (PSS), accommodative amplitude, response of accommodation, distance and near phoria, and NITBUT were measured.
Results : After exposure to noise stress, the PSS was increased. While the accommodative amplitude, the response of accommodation, and NITBUT were decreased, the distance and near phoria were increased. After exposure to noise stress, the perceived stress scale increased. The accommodative amplitude measured by the push-up and minus lens addition method and response of accommodation decreased. While the NITBUT also decreased, the distance and near phoria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noise stress affects visual function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the optometry clinic environment so that noise stress caus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oes not occur during refraction test and visual function evaluation.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 과
    1.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2. 최대조절력 변화 비교
    3. 조절반응량 변화 비교
    4. 원-근거리 사위량 변화 비교
    5. 비침습적 눈물막 파괴시간 변화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Bong-Hwan Kim(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봉환
  • Sun-Hee Han(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한선희
  • Jae-Joon Park(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재준
  • Gwang-Hae Kim(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광해
  • Geun-Hee Park(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근희
  • Jeong-Beop An(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안정법
  • Hyeong-Su Kim(춘해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