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20년 동아시아지역에서 COVID-19 폐쇄로 인한 장거리 이동 PM10, NO2, O3 농도 변동성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Concentration Variations of Long-Range Transport PM10, NO2, and O3 due to COVID-19 Shutdown in East Asia in 202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7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2020년 중국의 COVID-19 폐쇄는 한국의 풍상측에 위치한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량을 감소시켰다. 몽골 북부로 부터 중국 동부를 거쳐 한반도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2020년 1~2월에 기온 아노말리가 양(+)으로 온난하였고, 2020년 1월에는 동서류 아노말리가 음(−)으로 정체적인 특징을 보였다. 2019년 12월~2020년 3월에 한국 중부 서쪽의 석모리와 파도리에서 중국 배출량 감소의 영향에 따라 PM10, NO2, O3 농도 변동이 나타났다. 파도리에서 PM10, O3 월평균 농도와 최근 4년의 월평균 농도의 비는 2019년 12월과 비교하여 중국의 COVID-19 폐쇄 이후인 2020년 1~3월에 각각 0.7~4.7%, 9.2~22.8%로 감소하였다. 2020년 1월 중국의 춘절 기간에는 석모리와 파도리에서 PM10, NO2, O3 농도가 최근 4년의 춘절 기간과 마찬가지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2020년 1월 평균 농도가 최근 4년 1월과 비교하여 감소한 것은 중국 춘절 전후의 기간에도 배출량이 감소하였던 것과 관련 있다. 2020년 1~3월 석모리의 PM10, NO2, O3 농도의 비 ( /M)는 각각 70.8~89.7%, 70.5~87.1%, 72.5~97.1%이었고, 파도리에서도 각각 79.6~93.5%, 67.7~84.9%, 83.7~94.6% 로 추정 월평균(M)보다 월평균(Os)이 감소하였다. 2020년 1월에 몽골 북부로부터 중국 동부와 한반도에 이르는 지역의 온난화로 인한 광화학 반응으로 최근 4년과 비교하여 AOD가 높게 나타났으나 2020년 3월에는 풍상측인 중국에서 2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전구물질 배출 감소로 최근 4년과 비교하여 낮은 AOD 분포를 보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China’s shutdown due to COVID-19 in 2020 reduced air pollutant emissions, which is located on the windward side of South Korea. The positive temperature anomaly and negative zonal wind anomaly from northern Mongolia to South Korea through eastern China presented warm and stationary air masses during January and February 2020. Decreased concentrations of PM10, NO2, and O3 were measured at Seokmo-ri and Pado-ri, located in the central-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due to decreased emissions in China from January to March 2020. After China’s shutdown from January to March 2020, in Pado-ri, the ratio of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s in that period with those of PM10 and O3 in the last four years decreased by approximately 0.7-4.7% and 9.2-22.8%, respectively. In January 2020, during the Lunar New Year holidays in China, concentrations of PM10, NO2, and O3 at Seokmo-ri and Pado-ri decreased just as much as it did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last four years. However, average concentrations in January 2020 decreased before and after the Lunar New Year holidays in China when compared with those in January of the last four years. In Seokmori, ratios of actual and predicted values ( /M) for PM10, NO2, and O3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as 70.8 to 89.7%, 70.5 to 87.1%, and 72.5 to 97.1%, respectively, during January and March 2020. Moreover, those of Pado-ri were 79.6 to 93.5%, 67.7 to 84.9%, and 83.7 to 94.6%, respectively. In January 2020, the aerosol optical depth (AOD) data showed a higher distribution than that of the last four years due to photochemical reactions in regions from northern Mongolia to easter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decrease in AOD values compared with those of the last four years was attributed to the decrease in emissions of precursors that generate secondary aerosols in China during March 2020.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자료 및 분석 방법
    동아시아 기온과 동서류 아노말리 분석 방법
    등온위 후진궤적 분석 방법
    대기오염 자료 및 분석 방법
    위성 AOD 자료 및 분석 방법
연구결과 및 논의
    2019년 12월~2020년 3월에 동아시아의 기상요소 분석
    2019년 12월~2020년 3월에 한국의 배경적 대기오염농도 분석
    2000~2019년의 20년 동안 겨울-봄의 장기 변화경향을 고려한 2020년 변동 특성 분석
    2019년 12월~2020년 3월에 동아시아지역의 월별AOD 분석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유경(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Yu-Kyung K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조재희(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Jae-Hee Ch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학성(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Hak-Sung K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