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 주양육자의 물리적환경과 정서적 환경 관계에서 지적 웰니스의 매개 작용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양육자의 물리적·정서적 웰니스 사이에서 지적 웰니스의 매개 효과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관리 방안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장애 아동 양육자 177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06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하였다. 자료분석은 PROCESS macro를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변수간 분석은 Independent t-test 및 ANOVA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에 대하여는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수간 관련성 분석은 Pearson 상관관계 및 위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주양육자의 물리적 웰니스와 지적 웰니스는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서적 웰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물리적 웰니스와 정서적 웰니스 사이에서 지적 웰니스가 매개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장애아동이 가진 물리적 환경의 영향도 중요하 지만, 주양육자에게 적절하고 충분한 지적 교육이 동반되어야 정서적 웰니스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는 장애아동 양육자의 웰니스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n intellectual wellness between the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of th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the relevant data necessary for the response of the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177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19 to November 2019.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ROCESS macr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batch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of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is, Scheffé's post-test was performed for variabl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accounting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physical and intellectual wellness of the main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ovide a direct effect on their emotional wellness as well, and that intellectual wellness provides a mediating effect between physical wellness and emotional wellnes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also important, but emotional wellness can be improved only when the main caregivers ar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and sufficient intellectual education. Therefore, the expans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main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ir own overall wel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