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헌에 기초한 북한의 산불 발생경향 및 연구동향 분석 KCI 등재

Analyzing the Occurrence and Research Trends of Wildfires in North Korea: A Focused Literature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산림총서」 및 언론보도,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http://www.nktech.net/) 등의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 산불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산불 분야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북한의 산불 발생이력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으며, 산불 보도건수는 산림율과 정의 상관관계를, 인구밀도 및 산림황폐화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기적으로는 봄과 가을, 지역적으로는 동해안 지역에 산불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해안 지역에 산불 발생이 집중되는 이유는 높은 산림율과 낮은 인구밀도로 인해 감시와 통제에 자유로운 방화가 북한지역 산불의 주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산불 관련 논문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다수 발행되었으며, 김정은 집권시기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행되었다. 연도별 논문 발행편수는 산불 보도건수(n-3년 및 n-5년 이동평균)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산불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불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면서 관련 연구가 수행되었던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불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에 있어 산불 공동 관리·대응 역량 및 상호 협력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and research trends of wildfires in North Korea from 1960 to 2019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Results showed that the trend of wildfires occurrence was initially externally reported beginning in the 2000s. The number of wildfires reporte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orest rat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opulation density and deforestation rate. Furthermore, they occurred frequently in the dry season and the east coast region. This indicates that the high forest rate in the east coast region provided optimal conditions for swidden, and arson outside of monitoring and control was the main cause of wildfires. Finally, articles related to wildfires was published beginning in the 2000s, and many of them were published during the Kim Jongun-era.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wildfires by yea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wildfires reported (n-3 and n-5 year moving average). Th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wildfire frequency has expanded into social problems, thus related studies were performed. These results can provide reference information to exp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wildfire management and response capabilitie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산불의 개념 및 용어 검토
    2. 산불 발생경향 분석
    3. 산불 분야 연구동향 분석
결과 및 고찰
    1. 산불의 개념 및 관련 용어
    2. 산불 발생경향
    3. 산불 분야 연구동향
References
저자
  • 김기대(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Ki-Dae Kim (Department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ystem,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성용(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 Sung-Yong Kim (Division of Forest Fire and Landslid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이선주(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 Sun-Joo Lee (Division of Forest Fire and Landslid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강민정(사방협회 연구조사처) | Min-Jeng Kang (Division of Research and Survey, Korean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