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베이비 부머 은퇴자들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회복 탄력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Baby Boomer Retire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4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고령화 시대에 퇴직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우울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한국 사회의 경제 사회분야에서 중심적 역할을 주도해 온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이 시작되면서 이들의 퇴직 이후의 삶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의 회복탄력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베이비부머 세대 58명을 대상으로 3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 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그룹(FHPG)은 자율적인 숲 활동 그룹(FHNG) 과 일상생활 그룹(DLG)에 비하여 회복탄력성이 매우 유의미하게 증가되었고, 우울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은퇴자들의 자율적인 숲 활동 보다도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은퇴자들의 회복탄력성과 우울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eople who face retirement in aging society experience changes i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As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ich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Korea's economic and social sectors, begins retiring, interest in their post-retirement lives has also increased.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forest healing program using forest healing factors of ecological forests on the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baby-boomer retirees. This experiment divided 58 subjects 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to three groups and examined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ubjects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group (FHPG) had a very significant increase in resilienc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non-participation group (FHNG) and the daily life group (DLG). Therefore, it can be said participating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is more effective for retirees than voluntary fores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the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retire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 모형
    2. 대상자
    3. 대상지
    4. 숲 활동 내용
    5. 측정도구
    6. 분석방법
결 과
    1. 참가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집단 간 동질성 검정
    3. 분석결과
고 찰
REFERENCES
저자
  • 심남섭(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협동과정) | Nam-Seob Sim (Department of forest Therapy Chungbuk National Univ.)
  • 신창섭(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학과) | Chang-Seob Shin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
  • 신민자(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협동과정) | Min-ja Shin (Department of Forest Therapy, Chungbuk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