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교 내 기념공간 설계 - 목상고등학교 김대중동산을 대상으로 - KCI 등재

Design of Memorial Space in School with Storytelling Practices - Target at Kim Daejung Hill in Moksang High School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9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목상고등학교 김대중 동산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기념성이 강화된 학교 내 기념공간의 설계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공간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영역과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2020년 1월 ~3월 총 4회 동안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공간 및 동선의 구상,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의 연구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먼저 대상지에서 도출할 수 있는 기념공간의 아이덴티티를 스토리(Story), 맥락(Contextual), 담론(Discourse)이라는 스토리텔링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에 해당하는 설계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설계요소들은 연구의 공 간컨셉에 따라 구상된 2개의 영역 및 4개의 공간으로 배치되었다. 기억영역(Memory area)의 경우, 정원공간(Garden space)에 기억의 정원, 옥중편지벽, 진입로를 배치하고, 숲공간(Forest space) 에 기억의 숲, 휴식공간, 독립운동의 길(산책로)을 배치하였다. 추모영역(Remembrance area)의 경우, 열린공간(Openspace)에 김대중 동상 및 기념비, 묵념공간, 추모마당, 추모길을 배치하고, 수벽 공간(Tree screen space)에 배롱나무숲, 배롱나무길을 배치하였다. 모든 설계요소들은 명명 (Naming), 연속성(Sequencing), 드러냄과 감춤(Revealing & Concealing), 수집(Gathering), 열림(Opening)의 5가지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하여 설계되었고 이를 통해 기념성, 장소성, 경관성, 휴식기능 등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환경조형물로만 인식되고 있는 기념동상 중심의 기념공간을 기념성이 강조된 기념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는 설계안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설계사례는 학교내 기념공간이 갖는 교육적 효과, 학교의 상징성, 학생들의 정체성 및 학교에 대한 자부심까지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morial space design for Kim Daejung hill in Moksang high school that enhances commemorative characteristics by applying storytelling practices. First, we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storytelling areas and practices applicable to spatial designs. The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our times from January to March 2020. After that, we went through conceptual design plans of spaces and circulation, final design, and detailed design applying storytelling practices. As a result, the identity of the memorial space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site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of storytelling: Story, Contextual, and Discourse. Then, design elements corresponding to each identity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spatial concept of the study, the derived design elements were applied in two areas and four spaces. The memory area comprises memory space(memory garden, prison letter walls, access road) and forest space(forest of memory, rest space, independence movement trail). The remembrance area is composed of open space(Kim Daejung statue & monument, the silence tribute space, the remembrance yard, the remembrance trail) and tree screen space(crepe myrtle forest, crepe myrtle trail). All spaces and facilities design elements are designed with five storytelling practices(naming, sequencing, reveling & concealing, gathering, and opening) to secure commemorative character, placeness, landscapes, and resting functions. As a result, the final design plan proposes the memorial space with a memorial statue, which is recognized only as a sculpture-centered space, into a place emphasizing commemorative characteristic. Futhermore, this design case is very meaningful as it can strengthe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memorial space in the school, the symbolism of the school, the identity of the students, and the pride of the school.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기념동상 중심의 기념공간 구성방식
    2.2 스토리텔링
3. 현황분석
    3.1 대상지 개요
    3.2 스토리 영역(Story realms)
    3.3 맥락 영역(Contextual realms)
    3.4 담론 영역(Discourse realms)
4. 기본구상
    4.1 스토리텔링 적용 설계 전략
    4.2 공간 및 동선 구상
5. 기본계획
    5.1 최종 설계안
    5.2 식재 및 시설물 계획도
    5.3 기억영역(Memory area) 상세
    5.4 추모영역(Remembrance area) 상세
6. 결론
References
저자
  • 강태순(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Taesun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