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범불안장애의 지속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논문은 범불안장애의 지속에 관한 메커니즘들을 검토하여 범불안장애의 지속 메커니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각 메커니즘들은 범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회피하고자 하는 위협요인들과 범불안장애의 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의 영역은 전부 다르게 설명하고 있지만, 위협요인들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으로 대부분 걱정을 이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 메커니즘들은 걱정의 기능에 대한 이해는 달랐고, 걱정의 과도한 사용으로 불안을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불안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의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범불안장애의 지속 메커니즘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실무적으로 범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치유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제 상담과 치유 현장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aintenance characteristics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hereinafter GAD) by discussing the various maintenance mechanisms of GAD. Each mechanism explained the threat factors for the people who experience GAD differently, but explained in common that the people to experience GAD use the worry to avoid the threat factors. However, the understandings about function of worry were different. In addition, each mechanism explained in common that excessive worry disturbs the proper management of GAD, and resulted in the vicious circle mechanism to increase worry and anx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it clarified theoretically the maintenance characteristics of GAD by discussing the various maintenance mechanisms of GAD. And this study also can be utilized for counselling and establishment of healing strategy for the people to experience GAD in the field of counselling. Moreover, it is required to verify this study results empirically in the counselling field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불안과 범불안장애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범불안장애 지속에 대한 다양한 핵심요인별 메커니즘
    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메커니즘
    2. 메타인지 신념 메커니즘
    3. 감정조절 곤란 메커니즘
    4. 감정차이 회피 메커니즘
    5. 신체·감정 경험 회피 메커니즘
    6. 내적 경험 회피 메커니즘
III. 범불안장애 지속 메커니즘에 대한 검토
    1. 회피 요인은 무엇인가?
    2. 걱정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3. 불안지속의 악순환 요인은 무엇인가?
    4. 중요시하는 심리·행동영역은?
    5. 종합 검토
IV.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창중(동양대학교 교수) | Kim, Chang-Joong (Dongyang University, Kyongbuk,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