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윤종빈 감독이 연출한 영화 <수리남>을 통해서 종교적 기 능의 상실과 사회적 종교 걱정의 시대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는 것이다. 영화에 서 감독은 종교적 기능과 가치가 상실되고 마약과 종교가 긴밀하게 연계되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영화에서 마약은 숭배의 대상으로서 물질주의적 현대사 회의 단면을 극단적으로 제시해주고 있다. 영화에서 마약 밀매업자로서 종교 지 도자로 등장하는 인물은 현대 종교 지도자들의 범죄, 마약, 탐욕, 그리고 물질 집착 등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독자들의 공감을 확보하고 있다. 과거 사회적 질서와 안정을 위해서 종교가 작동했던 것과 달리 현대사회 일부 종교 지도자는 주도적으로 범죄나 물질적 탐욕에 관여되고 있다. 이러한 잘못된 종교 지도자들의 위선은 사회가 종교를 걱정하는 시대에 직면하는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 종교의 타락은 절망적 환경이나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 문이다. 현대 종교는 기능 상실에 대한 절박한 위기의식을 인식하고 종교의 본 질적 가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체육수업을 통해서 경험하는 재미와 걱정거리 요인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초등학생 4-6학년 778명(남자 426명, 여자 352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의 재미 경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요인을 묻는 개방형 설문지가 이용되었다. 수집된 원자료의 분석은 카이제곱 검증, 빈도분석, 귀납적 내용분석방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체육수업의 재미에 대한 경험반응은 83.7%로 나타났고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재미거리 요인은 수업내용(40.6%), 수업방식(32.3%), 운동의 심리생리적 효과(16.7%), 시합과 경쟁(5.5%), 기타(2.3%), 교사(2.3%) 등 6개의 요인이 도출되고, 걱정거리 요인은 학생(25.3%), 수업방식(23.6%), 수업내용(20.1%), 부상 걱정(13.1%), 수업환경(6.6%), 교사(5.1%), 기타(4.7%), 수업평가(1.4%) 등 8개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역, 학년, 성별에 따라 체육수업에서 경험하는 재미와 걱정거리 내용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체육수업 내용 선정과 지도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재미를 촉진하거나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level of score and sex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orry factor in physic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316(male 148, female 168) in the 2nd grade in middle school. But a total of 196 students responded to 5 Likert type question on physical education worry source questionnaire measurement(PCWSQM). The data analyses were used to 2(level of score)×2(sex) independent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students with high score had low in worry factor than those with low score. and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for worry score(all around parts) occluded one variable(worry about sports style). Second, the worry factors of male student had high than those of female. and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in worry about sports style, class atmosphere, sports skill and trouble in class. Third, in high level of score, the worry of female had a high than that of male, whereas in low level of score, the worry of male had a high than that of female. Thi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appraisal criterion of physical education test as a important variable determined physical education score.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to the design of student-orien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plan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