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북 죽장지역 토종꿀의 고품질화를 위한 특성 비교 KCI 등재 SCOPUS

Preliminary Quality Analysis between Native Bee Honeys Produced from JukJang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화분의 수와 종류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며 K/Na 비율이 3.9-27.9 배로 토종꿀에서 증가한 반면, Fe, Zn, Al은 토종꿀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토종꿀과 양봉꿀은 각각의 구성성분에 있어서 미시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토종꿀 특이적인 단백질의 전기영동적인 판별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 확인한 화분의 종류, K/Na ratio, 및 Fe, Zn, Al의 검출여부 등으로 판별을 확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이와 같은 예비적인 특성 비교는 지역의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native and foreign bee honeys, we analyzed several parameters of honeys by measuring pollen species, mineral content and K/Na ratio. Our results showed that native bee honey is higher in the pollen species, mineral concentrations than foreign bee honey. The K/Na ratio of native bee honey were increased 3.9~27.9 times than foreign bee honey. We could not detect Fe, Zn, and Al in all native bee honeys by the inductively coupled plasma method.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several parameters such as pollen species, mineral content and K/Na ratio, were applicable for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native bee honey and foreign bee honey.

저자
  • 이현진
  • 박철홍
  • 손형우
  • 남동윤
  • 이시림
  • 박경화
  • 허진철
  • 이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