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3자의 권력과 지위에 따른 사회적 배제행위에 대한 판단 KCI 등재

Influence of Power and Status on Social Exclu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9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권력과 지위는 사회계층을 구분하는 핵심 요소들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이 둘은 사회적 영향 력의 기반이 된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원천에 의해 발생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Fragale et al., 2011). 권력은 주로 능력이나 법적, 제도적 정당성에 근거하지만 지위는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 따라서 권력자 는 자기중심적으로 행위하지만, 지위를 가진 사람은 관계중심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Hasty & Maner, 2020). 사람들 또한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여 권력과 지위에 따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 고정관념 혹은 기대를 가진다 (Magee, 2009). 본 연구는 권력 혹은 지위의 중요한 사회적 영향인 사회적 배제 행위에 대한 판단이 행위자의 권력과 지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행위자의 권력, 지위, 익명성을 조작한 사회적 배제 시나리오 를 구성하여 참가자들에게 행위자의 고통과 행위 공정성을 평정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권력과 지위에 따라 행위자의 공정성과 고통이 달라질 것이라고 응답했으며(실험 1), 이는 앞서 언급한 고정관념과 일치하는 패턴을 보였다. 특히 권력이 낮을 때와 지위가 높을 때 익명성에 따른 효과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으며(실험 2A, 2B) 이는 권력보다는 지위가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는 주장에 대한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Power and status are core elements that distinguish social classes and strongly influence social interaction. Although they are the foundation of social influence, they have different origins (Fragale et al., 2011). While power usually is based on personal ability or legal, institutional legitimacy, status is rooted in voluntary support from other people. Hence, whereas people with power often demonstrate egoistic behavior, those with high status show relationship-based altruism (Hasty & Maner, 2020). People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d have stereotypical beliefs or expectations about the people’s behavior with high power or status (Magee, 2009). The current research tested how the judgment on social exclusion, the unique social influence of power and status, changes depending on the actor’s power and status. We constructed social exclusion scenarios in which we manipulated actors’ power and status and asked participants to rate an actor’s pain and behavioral fairness. Participants’ ratings showed that the actor’s fairness and pain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actor’s power and status (Expt. 1),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stereotypes above.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actor’s anonymity in the cases of low power and high status (Expts. 2A, 2B) provide further evidence for the proposal that status but not power originates from voluntary support from other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1.1. 권력과 지위
    1.2. 사회적 배제
    1.3. 현재의 연구
2. 실험 1
    2.1. 방법
    2.2. 결과 및 논의
3. 실험 2A, 2B
    3.1. 방법
    3.2. 결과 및 논의
4. 종합논의
REFERENCES
저자
  • 조준형(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박사과정) | JunHyoung Jo
  • 이형철(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 Hyung-Chul O Li
  • 김신우(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 ShinWo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