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내 치유정원 구성요소로서 식물의 중요도 및 필요도 분석 - 실내식물 관리경험의 유무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lants as an Healing Garden Component Indoor - Focused on With and Without Experiences in Managing Indoor Plant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치유정원 구성요소로서 실내식물에 대한 221명 도시민의 인식을 실내식물 관리경험에 의해 비교하였다. 실내식물을 관리한 경험은 여성과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거주자가 높았다. 성별, 연령대, 주거유형에 따라 식물 관리 경험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내식물의 기능 중 환경 개선과 심리적 안정 등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성, 40대, 단독주택, 아파트 거주민은 심리적 측면에서, 남성, 20대, 30대, 50대는 물리적 측면에서 식물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식물을 관리한 경험이 있으면 분위기 조절, 정서 안정 등 심리적 측면의 중요도가 높은 반면, 관리경험이 없으면 물리적 환경 구성 측면의 중요도가 높았다. 식물 관리경험이 있을수록 식물의 필요도가 높으며, 공간장식, 온습도 조절, 정서 안정 등의 기능은 식물의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식물을 관리한 경험은 정서적, 심리적 측면에서 중요도와 필요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다양한 식물에 대한 경험은 식물의 치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식물에 대한 인지적 정보와 체험에 의한 지각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치유정원 요소로서 식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식물을 통해 건강증진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식물의 활용이 요구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ions of 221 urban residents of indoor plants as components of a healing garde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managing indoor plants. The experience of managing indoor plants was higher with women and older people, and the residents of detached houses and apartment houses were hig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managing plant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housing type. Among the functions of indoor plant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ere highly important,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s, 40s, detached house, and apartment dwellers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to use plants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nd men, 20s, 30s, and 50s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The more experience in plant management, the more necessary it is. Functions such as spatial deco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factors that affect plant needs. The experience of managing pl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ortance and necessity i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erefore, the experience of various plants can be a factor that can improve the healing effect of plants. In particular, there is a difference in cognitive information about plants and perception by experience, so when using plants as a heali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방법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실내식물 관리 경험
    3.2 실내식물 기능의 중요도
    3.3 식물의 필요도와 기능 중요도의 관계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나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Nara Jeong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양지인(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in Y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