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유정원 구성요소로서 실내식물에 대한 221명 도시민의 인식을 실내식물 관리경험에 의해 비교하였다. 실내식물을 관리한 경험은 여성과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거주자가 높았다. 성별, 연령대, 주거유형에 따라 식물 관리 경험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내식물의 기능 중 환경 개선과 심리적 안정 등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성, 40대, 단독주택, 아파트 거주민은 심리적 측면에서, 남성, 20대, 30대, 50대는 물리적 측면에서 식물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식물을 관리한 경험이 있으면 분위기 조절, 정서 안정 등 심리적 측면의 중요도가 높은 반면, 관리경험이 없으면 물리적 환경 구성 측면의 중요도가 높았다. 식물 관리경험이 있을수록 식물의 필요도가 높으며, 공간장식, 온습도 조절, 정서 안정 등의 기능은 식물의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식물을 관리한 경험은 정서적, 심리적 측면에서 중요도와 필요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다양한 식물에 대한 경험은 식물의 치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식물에 대한 인지적 정보와 체험에 의한 지각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치유정원 요소로서 식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식물을 통해 건강증진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식물의 활용이 요구된다.
        4,8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공간의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내정원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연구방법은 서울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 내 실내정원 10개소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2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실내정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2013년 5월 20일부터 2013년 10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336부는 SAS Ver. 6.12(SAS Institute Inc., 199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 유형은 감상형 3개소, 휴식형 4개소, 감상과 휴식을 겸한 복합형 3개소였으며 실내정원에 도입된 실내식물의 종류는 총 38과 66속 82종이었으며 자생식물은 14과 17속 18종이었다. 주요 도입 첨경물 및 시설물은 조명등, 분수, 바위, 물확, 석탑, 조각품 등의 순이었으며 휴식형의 실내정원에 의자와 탁자 등이 주 시설물로 도입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실내정원 이용현황은 주 1회 이용자가 가장 많았고 월요일, 점심식사후, 30분정도를 이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 아름다움 및 쾌적한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업무공간에 실내정원 도입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었다. 경관유형 선호도의 경우 동양식 풍경의 정원형으로 편안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휴식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실내정원의 위치 및 형태는 사무실 인접 휴식공간에 고정식으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훨씬 높았으며, 허브식물, 관엽식물, 야생화 순으로 선호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의 기능 및 효과의 경우 도입필요성에 대한 선호도와 비슷하여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회사의 이미지 전달, 자연에 대한 그리움 및 소중함, 일의 능률에 대한 기여도, 실내공기정화 순으로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5.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indoor garden to humans and to analyze the comparison according to Type A behavior pattern. The subjects included 18 male university students. Heart rate variation was used as a parameter of physiological assessment,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Profile of Mood States-Brief (POMS),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were used as tools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The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a psychological evaluation when they were present in a garden. As a result, the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indoor garden. In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evaluation, indoor garden improved the positive mood states and decreased negative feelings with significant changes only in Type A group. This study supported that indoor garden can ha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ing effects, which could be more significant in Type A group than Type B.
        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나라꽃으로 사랑받아온 무궁화에 대한 이용방안이 활기를 띠면서 실내공간으로 도입이 가능한 무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무궁화 품종 중 꽃과 잎이 아름다운 ‘아랑’에 대한 광적응성 실험을 하였다. 도입광원은 현재 실내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 광등, 삼파장, LED등을 비롯하여 태양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하는 광섬유 등 4종류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광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은 관상가치를 파악하는 엽장, 엽 폭, 초장, 엽수, 낙엽수, 절간장, 개화율, 꽃색상 등의 형태적 측정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생리적 활성요소를 알아보고자 LI-6400을 사용하 여 광합성 활성을 측정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광원별 실험 결과, 형광등은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이었고, 삼파장등 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양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LED등의 경우,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며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원 활한 생장을 하였다. 무궁화 ‘아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경우, 최적광원은 광섬유 였으며, LED등, 형광등, 삼파장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광도는 대체적으로 1,500lux∼ 2,500lux 범위 내에서 무난하게 잘 자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궁화는 나라꽃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커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아왔다. 본 연구는 선호하는 무궁화 품종 중 ‘새아침’ 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 광환경을 설정해 주고 광적응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구내 설정한 광원은 실내 공간에서 주광원으로 도입되고 있는 LED등,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등 4종류를 사용하였다. 광도범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에 대한 측정요소는 형태적 특성에 따른 관상 가치와 LI-6400을 사용하여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실험 결과, 새아침 품종 도입시 가장 적합한 광원은 LED등 이었으며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순으로 나타났다. 광원별 적합한 광도는 LED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우월 한 생육과 생장을 보였으며 형광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삼파장등의 경 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양호하였다.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나타나 광도가 높을 수록 원활한 생장을 하였으며 생육상태도 양호하였다. 무궁화 ‘새아침’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함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고려해 볼 때, 750lux∼2,500lux 광도범위 내에서 무난히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174 participant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workers with the indoor-garden in lounge of public building. The measurement of mental stat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loyalty, attention restoration,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 Method) whil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paired t-test, frequency analysis, cros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ree psychological index, the rate of attention of restoration to the work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rea where the indoor-garden is installed than the area with no indoor-garden (p≦0.001). Emotional examination showed less negative emotions, such as, the tension, depression, anger, exhaustion or confusion while more positive feeling was vitalized in the area where there is indoor-garden in the lounge than the place with no garden.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the index of emotion by gender, negative emotions of men decrease but positive feeling increase more than the group of women in the area where there is indoor-garden in the lounge than the place with no garden. A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emotion of pleasant, natural and relax with SD method, worker might feel them more in indoor-garden of lounge. Detailed items of plant does not seem to affect to the loyalty in the interest of indoor-garden to the workers, however, behavioral element, such as, feasible investment-cost, provides extremely positive effect (p≦.05). Based on this study, the cognizance of healing effect, attention restoration, profile of mood state (POMS) and emotional quotient by the existence of indoor-garden can be concluded that it will provide the positive effects to diffuse indoor-garden and promotion of emotional health for the staff. In addition, indoor-garden can be practically used to reduce the stress and provide the stability of the indoor-staff.
        1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파트 베란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실내정원 도입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및 도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기 원하는 응답자는 83.7%로 나타났으며 실내정원 도입목적으로 “공기정화”, “취미활동”, “이미지 제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 “스트레스 해소”, “자녀들의 자연학습에 도움” 순으로 응답되었다. 둘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 도입유형은 “휴식형”보다 “감상형”을, 설치유형은 “정원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실내정원의 이미지는 “동양식 풍경”으로 “친근한 이미지”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넷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의 도입소재는 “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외래종보다 “자생식물”을, 식물의 종류 중 “관엽식물”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플랜터 및 마감재료는 “목재”를 가장 선호하였다. 다섯째,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의 조성비용은 “100만원”을, 관리형식은 “직접관리”를 선호하였으며 연간 위탁관리비용이 “20만원”이면 위탁관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여섯째, 응답자중 87.8%가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이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는 것은 공기정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할 필요성이 매우 높으며 목재를 이용하여 플랜터를 만들고 우리나라 자생식물중 관엽식물을 위주로 정원형으로 구성하되 동양식풍경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도입방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1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ur Natural environment is being destroyed and green area is being reduc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those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result, increased play hour with TV, computer games, video games rather then spend a time in nature and plants in children’s. This problems cause children’s emotional impoverishment and passive-dependence inclination. And made children scruple thinking and judging by themselves and it makes children exposure to social problems. Therefore loss of humanity and crisis are rapidly increase educational standardization and this is the cause to decrease children’s pure sensitivity and feelings and decrease cultivate desirable humanity for advancement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things. For solution, this paper propose Kid Garden for equally cultivate interests, concern, imagination, internal emotion and feelings and increase children’s curiosity about nature for get back into good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nature. On this study, make a model reflects children’s suggestions includes plays what they want to do, materials, safety, color, preferences those are analyzed results through survey analysis bases on Preference-Analysis of Kid Garden, the most preferred Kid Garden is a unreal Garden showed in fairy tale "The Wizard of OZ". We propose a Kid Garden model, it based on preference-analysis to get each details of preference, for experience plays what they want to do, horticulture activities for feel five senses, harmonize with nature in limited interior space and help children to expand their dream and an ideal. Children are growing constantly. During growing process children raise their dream and hope and made healthy ego. Experience various culture and experience of nature will help to cultivate children’s, most of children who live in desolate buildings, humanity. Thus, this paper proposes a Kid Garden which is necessary to children, has various forms and contents for children’s demands. Furthermore, we need to make custom gardens consider of age, area, characteristic of space. And we need well organized and designe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help to understand about plant and increase horticulture activity time in children education curriculums.
        16.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서현동, 이매동, 분당동 등 3개 지역 아파트 거주자 321명을 대상으로 실내식물에 대한 일반지식 및 관심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아파트 內의 실내식물 이용 문제점 및 키우고 있는 식물의 내용과 아파트 실내정원이 보다 활성화 할 수 있는 개선책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실내 원예활동이 여가에 도움이 된다(95.3%)고 대답했고, 실내식물의 재배와 원예치료의 관련성에 관해서는 원예치료 효과에 대한 내용만 알고 있다고 대답했다. 또, 실내 식물로 이용하고 싶은 꽃으로는 장미 (53.1%), 蘭류(31.7%), 국화(20.3%) 순이었으며, 이용하고 싶은 나무로는 벤자민고무나무(71.8%), 데코라인도고무나무(37.5%), 동백나무(27.0%)였다. 실내정원 시행 여부에 따라 만들어 본 적이 없다 63.8%, 있다 36.1% 였으며, 조성하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내정원 조성 이유로는 실내장식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취미, 관상목적 순이었고, 규모는 베란다의 20-30%가 가장 많았다. 실내 식물 구입 시 고려한 사항은 수명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실내 식물 재배에 대한 교육의 경험은 거의 없었으며(72.6%), 실내 식물을 배치하는 장소로는 베란다(71.8%)가 가장 많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도 가장 높았다. 실내 식물을 배치할 때는 햇빛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정원에 대한 교육에 대해서는 무료로 1주정도의 교육을 받을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