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치유정원 구성요소로서 실내식물에 대한 221명 도시민의 인식을 실내식물 관리경험에 의해 비교하였다. 실내식물을 관리한 경험은 여성과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거주자가 높았다. 성별, 연령대, 주거유형에 따라 식물 관리 경험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내식물의 기능 중 환경 개선과 심리적 안정 등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성, 40대, 단독주택, 아파트 거주민은 심리적 측면에서, 남성, 20대, 30대, 50대는 물리적 측면에서 식물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식물을 관리한 경험이 있으면 분위기 조절, 정서 안정 등 심리적 측면의 중요도가 높은 반면, 관리경험이 없으면 물리적 환경 구성 측면의 중요도가 높았다. 식물 관리경험이 있을수록 식물의 필요도가 높으며, 공간장식, 온습도 조절, 정서 안정 등의 기능은 식물의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식물을 관리한 경험은 정서적, 심리적 측면에서 중요도와 필요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다양한 식물에 대한 경험은 식물의 치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식물에 대한 인지적 정보와 체험에 의한 지각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치유정원 요소로서 식물을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식물을 통해 건강증진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식물의 활용이 요구된다.
        4,8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공간의 실내정원 경관구성 현황 및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내정원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연구방법은 서울에 위치한 사무실 건물 내 실내정원 10개소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2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실내정원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2013년 5월 20일부터 2013년 10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응답된 설문지 336부는 SAS Ver. 6.12(SAS Institute Inc., 199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 유형은 감상형 3개소, 휴식형 4개소, 감상과 휴식을 겸한 복합형 3개소였으며 실내정원에 도입된 실내식물의 종류는 총 38과 66속 82종이었으며 자생식물은 14과 17속 18종이었다. 주요 도입 첨경물 및 시설물은 조명등, 분수, 바위, 물확, 석탑, 조각품 등의 순이었으며 휴식형의 실내정원에 의자와 탁자 등이 주 시설물로 도입되어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실내정원 이용현황은 주 1회 이용자가 가장 많았고 월요일, 점심식사후, 30분정도를 이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 아름다움 및 쾌적한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업무공간에 실내정원 도입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었다. 경관유형 선호도의 경우 동양식 풍경의 정원형으로 편안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휴식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실내정원의 위치 및 형태는 사무실 인접 휴식공간에 고정식으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외래식물보다 자생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훨씬 높았으며, 허브식물, 관엽식물, 야생화 순으로 선호하였다. 사무실 건물에 조성된 실내정원의 기능 및 효과의 경우 도입필요성에 대한 선호도와 비슷하여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조성,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 회사의 이미지 전달, 자연에 대한 그리움 및 소중함, 일의 능률에 대한 기여도, 실내공기정화 순으로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인공 배양토를 조합한 배지를 사용하여 이 에 따른 실내식물의 생육반응을 알아보고 실내 벽면녹화에 최적 의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벽면녹화의 경우 식물의 수직식재, 식재공간의 협소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배지가 가볍 고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은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 용된 배지의 물리성과 화학성의 측정 결과로부터 벽면녹화에 적 합한 배지는 고형율이 가장 낮고 최대용수량이 가장 높으며 CEC가 비교적 높은 배지3으로 판단되었다. 무늬산호수의 경우 엽수를 제외하면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의 생육은 배 지 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 인 생육상황과 배지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배지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오색마삭줄의 경우 무늬 산호수와 마찬가지로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의 전반 적인 생육상황과 배지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배지3 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금사철의 경우는 무늬산호수와 오색 마삭줄과는 달리 초장, 엽수, 엽장, 엽폭, 측지수 등에서 전반적 으로 생육이 양호한 배지8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배지에 따라 식물의 생육반응이 다른 것은 각 식물의 생육 습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식물별 적합한 토 양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벽면녹화용 식물에 대해서 적합한 토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6.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indoor garden to humans and to analyze the comparison according to Type A behavior pattern. The subjects included 18 male university students. Heart rate variation was used as a parameter of physiological assessment,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Profile of Mood States-Brief (POMS),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were used as tools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The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a psychological evaluation when they were present in a garden. As a result, the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indoor garden. In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evaluation, indoor garden improved the positive mood states and decreased negative feelings with significant changes only in Type A group. This study supported that indoor garden can ha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ing effects, which could be more significant in Type A group than Type B.
        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truction of indoor gardens in expressway service areas.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fficient and successful indoor garden introduction in future service areas and improvements for current service areas on expressways.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2, 2016 to October 11, 2017. The status of indoor garden was determined by visiting 147 expressway service areas in Korea. Physical environment survey items include architectural structure, usage type, facility and garden ornament, mobility, material of planter, soil type and planting plants. Among the 147 major expressway service areas, 56 were constructed with indoor gardens done, showing an indoor garden construction ratio of 38%. In terms of the number of service areas with indoor gardens in expressway, Gyeongbu Expressway had the largest number of 16 areas. This was followed by 10 in Jungang Highway, 8 in the Jungbunaeryuk Expressway, 6 in the Seohaean Expressway, 4 in the Namhae Expressway, 4 in the Youngdong Expressway, 3 in the Donghaean Expressway, 3 in Tongyeong-daejeon Jungbu Expressway, and 2 in Honam Expressway. Thirty five service areas in expressway were constructed with natural flowers, 7 service areas were decorated with artificial flowers, and 14 service areas were arranged with both natural and artificial flowers. Most of the indoor gardens in the expressway were constructed in the restroom space, 47 in the men’s restroom and 50 in the women’s restroom. The indoor garden landscape in the expressway service area was all designed as a fixed garden type, except for three places composed of portable planters. There were 19 families, 27 genera, and 30 species of plants found in the indoor gardens in the expressway service areas.
        8.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aken place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change with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installation of indoor garden with 55 of subjects out of 62 subjects. More than 50% of subject answered that the garden management would be difficult before they experience the installation but the pressure was decreased while the interest of plants and landscape increased, however, the burden of management decreased and the interest in the kinds of plants and landscape design tended to increase after the experience of the installation. The psychological effect of indoor garden of worke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question of “Indoor garden improves effect of air cleaning.” after the experience of installation and the loyalty was statistically increased with the question of “Intend to invest more fund to purchase indoor plant” (p <.05).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wo psychological indicators, the recovery index of the state according to experience of indoor garde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experiencing the indoor garden than before the indoor gardening experience. As the result of sensibility evaluation of pleasant, natural and calm wit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orkers feel more of them with the indoor garden. In addition, the loyal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uestion “I would be willing to invest more in plant purchase” after experiencing the composition indoor garden (p <.05).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result that the resident’s recovery index, pleasantness, calm feeling, and emotional index are higher the indoor garden in public resting area with indoor garden than without indoor garden. With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indoor garden changed as a result of the worker’s experience of indoor gardening in the workplace and the view of the indoor garden created by the workers. As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indoor garden increased, increase in the cost investment for the emotional health promotion of the workers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indoor garden.
        9.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나라꽃으로 사랑받아온 무궁화에 대한 이용방안이 활기를 띠면서 실내공간으로 도입이 가능한 무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무궁화 품종 중 꽃과 잎이 아름다운 ‘아랑’에 대한 광적응성 실험을 하였다. 도입광원은 현재 실내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 광등, 삼파장, LED등을 비롯하여 태양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하는 광섬유 등 4종류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광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은 관상가치를 파악하는 엽장, 엽 폭, 초장, 엽수, 낙엽수, 절간장, 개화율, 꽃색상 등의 형태적 측정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생리적 활성요소를 알아보고자 LI-6400을 사용하 여 광합성 활성을 측정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광원별 실험 결과, 형광등은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이었고, 삼파장등 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양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LED등의 경우,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며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원 활한 생장을 하였다. 무궁화 ‘아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경우, 최적광원은 광섬유 였으며, LED등, 형광등, 삼파장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광도는 대체적으로 1,500lux∼ 2,500lux 범위 내에서 무난하게 잘 자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궁화는 나라꽃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커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아왔다. 본 연구는 선호하는 무궁화 품종 중 ‘새아침’ 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 광환경을 설정해 주고 광적응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구내 설정한 광원은 실내 공간에서 주광원으로 도입되고 있는 LED등,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등 4종류를 사용하였다. 광도범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에 대한 측정요소는 형태적 특성에 따른 관상 가치와 LI-6400을 사용하여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실험 결과, 새아침 품종 도입시 가장 적합한 광원은 LED등 이었으며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순으로 나타났다. 광원별 적합한 광도는 LED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우월 한 생육과 생장을 보였으며 형광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삼파장등의 경 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양호하였다.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나타나 광도가 높을 수록 원활한 생장을 하였으며 생육상태도 양호하였다. 무궁화 ‘새아침’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함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고려해 볼 때, 750lux∼2,500lux 광도범위 내에서 무난히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지속가능한 취업처 개발 목표달성을 위하여 도시형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실내조경 직종을 분석하여 일 중심의 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현장실습위주의 역량기반의 교육과정을 맞춤형으로 개발하고 이를 교육한 후 교육대상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의 만족 정 도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육내용 구성을 위해 전문가 위원회에서 현재 발달장애인이 원예 관련 직종에서 수행하는 가능한 작업을 분석하여 상품제작과 상품 배달, 식물관리 및 이동, 상품 포장과 서비스를 대표적인 직무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직무교육 과정을 장애고등학생에 맞도록 난이도를 조정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을 때 결과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89%가 만족 하였고 세부교육내용은 67%가 만족하였으며 실습내용은 78% 강사 89%를 만족하였고 세부 프로그램 중 식물원 환경미화 67%, 식물관리 67%, 식물원매장관리 56%, 식물장식이 55%로 높은 만족의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고등학생의 역량을 고려한 맞춤형 실내조경 직무교육은 높은 만족을 나타내었으므로 장애인의 도시형 농업기반의 직업교육 콘텐츠로 실내조경분야는 높은 가능성을 기대할 수 분야 라고 판단되어 향후 지속적인 직무교육과정개발과 수행평가 도구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1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174 participant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workers with the indoor-garden in lounge of public building. The measurement of mental stat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loyalty, attention restoration,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 Method) while statistical analysi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paired t-test, frequency analysis, cros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ree psychological index, the rate of attention of restoration to the work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rea where the indoor-garden is installed than the area with no indoor-garden (p≦0.001). Emotional examination showed less negative emotions, such as, the tension, depression, anger, exhaustion or confusion while more positive feeling was vitalized in the area where there is indoor-garden in the lounge than the place with no garden.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the index of emotion by gender, negative emotions of men decrease but positive feeling increase more than the group of women in the area where there is indoor-garden in the lounge than the place with no garden. A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emotion of pleasant, natural and relax with SD method, worker might feel them more in indoor-garden of lounge. Detailed items of plant does not seem to affect to the loyalty in the interest of indoor-garden to the workers, however, behavioral element, such as, feasible investment-cost, provides extremely positive effect (p≦.05). Based on this study, the cognizance of healing effect, attention restoration, profile of mood state (POMS) and emotional quotient by the existence of indoor-garden can be concluded that it will provide the positive effects to diffuse indoor-garden and promotion of emotional health for the staff. In addition, indoor-garden can be practically used to reduce the stress and provide the stability of the indoor-staff.
        13.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rasp the introduction of Korean wild evergreen broad-leaved tree, Ternstroemia gymnanthera, as a plant of indoor garden, and to figure out the light-adaptability under the four types indoor lighting and to provide the introduction plan. The experimental plants, Ternstroemia gymnanthera was purchased from the farmhouse in Jeju-do as a year plant, and it was experimented after the acclimation in the glass-green house of general farm of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40 day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1 year more from September 10, 2014 to September 30, 2015.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When Ternstroemia gymnanthera is introduced as a plant of the indoor garden, the optical fiber,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in order are suitable to introduce as the proper lighting. In the case of the three-wave l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was the worst among the 4 introduced lighting systems, therefore, the growth of Ternstroemia gymnanthera under the three-wave light was incongruous generally. The withering appearance was existed seriously by 500lux. Some leaves were fallen off, but generally smooth growth and development was done in the range of the 1,000lux to 2,000lux. The best intensity for the growth was under the condition of the 1,000lux. When the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are introduced, the most proper luminous intensity is the 2,000lux. When the optical fiber is introduced, the most efficient intensity is the 1,000lux. Generally the smooth growth and development is done under the more luminous intensity. As the result, the wild Ternstroemia gymnanthera is the species of tree to substitute the Ficus benghalensis, or Ficus retusa which is the foreign species, as a central tree or upper tree as well as pot tree, and it is expected to introduce sufficiently as a plant of the indoor garden.
        1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파트 베란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실내정원 도입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및 도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기 원하는 응답자는 83.7%로 나타났으며 실내정원 도입목적으로 “공기정화”, “취미활동”, “이미지 제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 “스트레스 해소”, “자녀들의 자연학습에 도움” 순으로 응답되었다. 둘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 도입유형은 “휴식형”보다 “감상형”을, 설치유형은 “정원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실내정원의 이미지는 “동양식 풍경”으로 “친근한 이미지”로 조성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넷째, 아파트베란다 실내정원의 도입소재는 “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외래종보다 “자생식물”을, 식물의 종류 중 “관엽식물”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플랜터 및 마감재료는 “목재”를 가장 선호하였다. 다섯째,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의 조성비용은 “100만원”을, 관리형식은 “직접관리”를 선호하였으며 연간 위탁관리비용이 “20만원”이면 위탁관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여섯째, 응답자중 87.8%가 아파트 베란다 실내정원이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아파트베란다에 실내정원을 도입하는 것은 공기정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할 필요성이 매우 높으며 목재를 이용하여 플랜터를 만들고 우리나라 자생식물중 관엽식물을 위주로 정원형으로 구성하되 동양식풍경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도입방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1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ur Natural environment is being destroyed and green area is being reduc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those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result, increased play hour with TV, computer games, video games rather then spend a time in nature and plants in children’s. This problems cause children’s emotional impoverishment and passive-dependence inclination. And made children scruple thinking and judging by themselves and it makes children exposure to social problems. Therefore loss of humanity and crisis are rapidly increase educational standardization and this is the cause to decrease children’s pure sensitivity and feelings and decrease cultivate desirable humanity for advancement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things. For solution, this paper propose Kid Garden for equally cultivate interests, concern, imagination, internal emotion and feelings and increase children’s curiosity about nature for get back into good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nature. On this study, make a model reflects children’s suggestions includes plays what they want to do, materials, safety, color, preferences those are analyzed results through survey analysis bases on Preference-Analysis of Kid Garden, the most preferred Kid Garden is a unreal Garden showed in fairy tale "The Wizard of OZ". We propose a Kid Garden model, it based on preference-analysis to get each details of preference, for experience plays what they want to do, horticulture activities for feel five senses, harmonize with nature in limited interior space and help children to expand their dream and an ideal. Children are growing constantly. During growing process children raise their dream and hope and made healthy ego. Experience various culture and experience of nature will help to cultivate children’s, most of children who live in desolate buildings, humanity. Thus, this paper proposes a Kid Garden which is necessary to children, has various forms and contents for children’s demands. Furthermore, we need to make custom gardens consider of age, area, characteristic of space. And we need well organized and designe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help to understand about plant and increase horticulture activity time in children education curricul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