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부 광환경 및 생육도일온도가 딸기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External Light Environment and Growing Degree Days on Strawberry Produ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설향’ 딸기를 두 작기(2020-2021년, 2021 -2022년)에 걸쳐 재배하면서 외부 광환경과 생육도일온도 가 작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년 동안 온실 내 환경 관리, 양액 관리 등은 동일하게 하였다. 재배기간 중 주 간의 온실 온습도는 두 작기에서 유사하게 관리되었고, 야간 의 온습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작물 생육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일사량은 9월과 10월에 첫 번째 작기의 일 평균 일사량이 많아 누적일사량도 많았으며, 11월부터는 2월 까지는 두 번째 작기의 일사량, 3월에는 다시 첫 번째 작기의 일사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1월부터의 누적일사량은 두 번 째 작기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딸기의 최적 일장 조건인 8시간 이상의 일장이 나타난 일은 두 작기 간 큰 차이가 없었고, 변화 양상은 누적일사량의 변화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누 적일사량과 생육도일온도는 상관관계가 커 생육도일온도가 딸기의 생산량과 당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의 초 기의 누적일사량과 생육도일온도가 적었던 두 번째 작기에서 초기 수확량은 적었으나 누적일사량 및 생육도일온도가 증가 함에 따라 후기에 수확량이 첫 번째 작기보다 많았으며 잠재 적 최대 생산량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는 생육도일온도 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는 촉성딸기의 특성으로 판단된다. 추후 연구를 통해 단순 수확량뿐만 아니라 작물 생 육, 꽃눈분화 및 출뢰시기를 조사, 분석하여 생육도일온도가 작 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strawberries were grown during the two cultivation periods (first: 2020-2021, second: 2021-2022)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xternal light environment and growing degree days (GDD) on crop producti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day in a greenhouse in each cultivation period were similarly managed. At nigh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greenhouse between two periods. The accumulated solar radiation during the first cultivation period was high in September and October. Since January, the accumulated solar radiation during the second cultivation period was high. In the second cultivation period, the initial yield was small because the accumulated solar radiation and GDD was small. But accumulated yields and potential maximum yields in second cultivation period were larger than yields in the first cultivation period as the accumulated solar radiation and GDD increased. The sugar contents of strawberry decreased as GDD increased.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품종 및 시험 온실
    2. 온실 내외부 환경, 일사량 및 생육도일온도 비교
    3. 딸기 생산량 및 당도 조사
    4. 광환경, 생육도일온도와 생산량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온실 내외부 온습도 비교
    2. 재배기간 내 일사량 및 일장 비교
    3. 광환경과 생육도일온도가 딸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이태석(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연구사) | Taeseok Lee (Researcher,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Corresponding author
  • 김진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연구사) | Jingu Kim (Researcher,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박석호(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밭농업기계화연구팀 연구관) | Seokho Park (Senior Researcher, Upland Mechanization Team, NIAS, RDA)
  • 이재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연구사) | Jaehan Lee (Researcher,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한길수(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연구관) | Kilsu Han (Senior Researcher,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문종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에너지환경공학과 연구사) | Jongpil Moon (Researcher, Division of Energy & Environmental Engineering, NIA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