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후변화 시대의 한반도 환경협력 KCI 등재

Environmental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6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남북관계는 여전히 교착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시대를 맞아 남북 기후변화 공동대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전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북한의 기후변화 관련 보도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의 기후변화 대응은 국제협력과 지속적으로 연 계되고 있다는 점을 파악했고, 북한의 국제사회 발표자료를 중심으로 질 적연구를 진행하여 그 논의를 검증하는 절차를 거쳤다. 북한은 국제협력 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며, 산림보호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 기후변화 공동대응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남북산림협력을 통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 북한의 산림 논의와 북한 산림 보도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텍스 트마이닝을 다시 수행하며 남북교류협력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 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남북협력의 한계 가 있는 현 상황에서, 실현가능한 협력사업으로 인도주의적 사업과 역량 강화, 능력배양 사업을 제언하였다.

Inter-Korean relations remain deadlocked. This study aims to discover cooperative projects that the two Koreas can carry out together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shows that North Korea's climate change response is continuously linked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by text mining the articles from North Korea. North Korea wan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mphasize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rough forest protection. Therefore,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can be a significant link for the joint response to inter-Korean climate change. Although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s difficult to proceed smoothly due to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is study suggested humanitarian and capacity-building projects that can be promoted under sanctions. Through follow-up studies, specific policy contents and directions for pea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 분석
    2. 연구방법
Ⅲ. 왜 기후변화인가?
    1. 기후변화의 역할과 북한의 기후변화 피해
    2. 북한에서의 기후변화 논의
Ⅳ. 북한에서의 산림 논의 및 기후변화 대응과의 연계
    1. 김정은 시기 북한의 산림 논의
    2. 북한 산림 보도의 특징
Ⅴ. 남북 기후변화 공동 대응을 위한 발전방향
    1. 기존 남북환경협력의 성과와 한계
    2. 남북 기후변화 공동 대응 정책 제언
    3. SDGs를 통한 지속가능성 확보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문예찬(연세대학교) | Yechan Moon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