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연구 문헌 중 요통 환자에게 보행운동을 적용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를 메타 분석을 하여 통증과 장애지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논문은 다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direct, KISS, RISS, NDSL. 지난 10년간 영어나 한국어로 된 논문 중, 요통이 있는 환자들이 보행운동을 하였을 때, 통증과 장애지 수를 연구한 논문들을 검색하였다. 이 논문에는 (1) 요통이 있는 환자, (2) 중재에는 보행운동이 포함되며, (3) 평가 지표에는 통증과 장애지수가 포함되었다. 최종 결과로 35개의 논문을 확인하였고, 그중 15개의 논문이 충족되었다.
결과: 본 논문은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운동을 중재로 주었을 경우의 논문 15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 였고 분석하였다. 통증과 장애지수와 관련되어 각각 12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통증과 관련된 12개의 논문의 효과 크기는 중간의 효과 크기나 나타났고, 장애지수와 관련된 12개의 논문의 작은 효과 크기가 있었다.
결론: 보행운동은 요통 환자들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장애지수를 줄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 행운동은 요통을 지닌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sis of the randomized control experimental design applying walking exercise to low back pain patients in the study literature to find out the effect on pain and disability index.
Methods: This following databases were reviewed: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direct, KISS, RISS, NDSL. We included article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in English or Korean, focusing on walking exercise reduce pai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is study considers the following (1) patients have low back pain (2) exercise includes walking exercise (3) Evaluation indicators include pain and disability. As the final outcome 35 publications were identified and 15 studies met the inclusion.
Result: In this paper, 15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when walking exercise was given as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welve papers were analyzed each related to pain and disability index. The effect size of 12 papers related to pain appeared to ba a moderate effect size, and there was a small effect size of 12 papers related to the disability index.
Conclusion: Walking exercis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pain and reducing the disability index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refore, waling exercise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ople with low back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