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손소독제(겔형, 액제형, 와이프형)의 효능 평가법 개선: 평가 전략 연구 사례 및 손 균총 정보 활용 등 최근 동향 KCI 등재

Improvement of the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Gel, Liquid, and Wipes): Emerging Trends from in vivo/ex vivo Test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the Hand Microbiome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9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피부를 대상으로 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소독제 의 경우 식품 취급자에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또는 제거 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개인위생에 대한 관 심 증가에 따라 제품 소비 증가와 제품 다양화가 두드러 지게 나타나고 있다. 살균 효능은 소독제의 핵심 품질 평 가 요소로서 수행 절차 및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 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시험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주요 제 형별(겔형, 액제형, 와이프형) 시험법 개발 현황을 파악하 고 시험법별 특장점 분석 결과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하 여 제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향후 효능 평가 체계의 발 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체 대상 시험법의 경우 시험 유형에 따라 소독제를 시험 대상 피부 표면에 처리 하는 조건이 다양화되어 있어 시험법 간 동등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소독제 제품의 성분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평가 체계 및 관련 규제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와 이프형 소독제의 경우 처리 방식이 미생물 제거 및 살균 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노출하 는 손 대상 처리를 위한 사용 패턴의 표준화 사례가 부족 하였다. 한편 [전처리 - 소독제 노출 - 미생물 회수] 등 각 시험 절차별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의 지속 수행을 통해 기존 시험법을 개선하고 신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최 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ex vivo 시험법은 인체 시험 의 제한적인 연구 재현성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인 간 피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손 피부를 대상으로 한 균총 연구 등 소독제 처리 전후 미생물의 특성과 분포 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보고 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미생물 군집 단위의 소독제 효능 평가 시험법의 확립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독제 효능 시험법의 현황 기반 발전 전략은 보다 효과 적인 개인위생 관리 확립을 통해 손을 통해 교차 오염되 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중보 건 및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Skin sanitizers are effective in killing or removing pathogenic microbial contaminants from the skin of food handlers, and the progressive growth of consumer interest in personal hygiene tends to drive product diversification. This review covers the advances in the application of efficacy tests for hand sanitizers to suggest future perspectives to establish an assessment system that is optimized to each product type (gel, liquid, and wipes). Previous research on the in vivo simulative test of actual consumer use has adopted diverse experimental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product type.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optimal test protocols specialized for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sanitize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est methods. Although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mechanical actions associated with wiping can affect the efficacy of the removal and/or the inactivation of target microorganisms from the skin’s surface,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standardized use patterns for the exposure of hand sanitizing wipes to skin. Thus, major determinants affecting the results from each step of the overall assessment procedures [pre-treatment – exposure of sanitizers – microbial recovery] should be identified to modify current protocols and develop novel test methods. The ex vivo test,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ed reproducibility of in vivo human trials, is also expected to replicate the environment for the contact of sanitizers targeting skin microorganisms. Recent progress in the area of skin microbiome research revealed distinct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s after the application of sanitizers on hands to establish the test methods with the perspectiv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s at the community level. The future perspectives presented in thi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can also contribute to public health and food safety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effective sanitizer products.

목차
ABSTRACT
Efficacy test methods applicable to handsanitizers – in vitro tests
Efficacy test methods applicable to handsanitizers – in vivo tests
Efficacy test methods applicable to handsanitizers – ex vivo tests
Major research findings supportive of the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Future perspectives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오윤(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 | Yun O (Department of Food Regulatory Science,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송지섭(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Ji Seop Song (Department of Food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한솔(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 | Han Sol Park (Department of Food Regulatory Science,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영훈(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Young Hoon Lee (Department of Food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신진송(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 | Jin Song Shin (Department of Food Regulatory Science,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다솜(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Da som Park (Department of Food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남궁은(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Eun NamGung (Department of Food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조태진(고려대학교 식품규제과학과,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Tae Jin Cho (Department of Food Regulatory Science,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Food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