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향신료 첨가에 의한 닭고기 분쇄육에서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Spice Addition on the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in Ground Chicken Mea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9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비가열 닭고기 분쇄육의 제조 시 향신료의 첨가에 의한 세균의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닭가슴살 분 쇄육의 일반성분은 수분 72.98±0.15%, 조단백질 23.37±0.46%, 조지방 1.00±0.03%, 조회분 1.90±0.03%였다. 향신료 첨가 에 의한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는 로즈마리 > 마늘 > 겨 자 순이었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억제 효과가 커졌다. 닭고기 분쇄육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 증식 억제를 나타내 는 향신료의 최적 첨가 농도는 로즈마리 2%, 마늘 4%, 겨 자 1.2%였다. 일반세균 및 대장균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는 단독 및 혼합 첨가 시 저장기간 동안 기간별로 차이가 있었고, 저장 9일째 억제 효과는 MixA(97.4%) > 로즈마 리(96.9%) > MixB(96.3%) > 마늘(53.7%) > 겨자(33.3%) 순이었다. 닭고기 분쇄육에 살균마늘과 비살균마늘을 첨가 하여 비교했을 때 일반세균 수는 살균마늘 처리구가 비살 균마늘 처리구에 비해 초기 2.6-3.0 log CFU/g, 9일째 2.4- 3.2 log CFU/g 정도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수 가 감소하였다. 비살균마늘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높은 일 반세균 수를 나타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대장균 수의 경우 살균마늘 처리구가 비 살균마늘 처리구에 비해 저장 0일째 0.4-1.0 log CFU/g, 9 일째 0.5-1.5 log CFU/g 정도 낮았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일반세균 수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적으로 로즈마리, 마늘, 겨자의 다양한 혼합적용에 의해 닭 고기 분쇄육 제품의 미생물적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Addition of spice for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in ground chicken meat was investigated. The ground chicken meat approximately contained 72.98±0.15% moisture, 23.37±0.46% crude protein, 1.00±0.03% crude fat, and 1.90±0.03% ashes. Addition of rosemary showed the maximum bacterial inhibition, followed by garlic and mustard. The inhibitory effec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 greater quantity of spices. The optimal added concentration of spices for inhibition of total viable cell and proliferation of Escherichia coli in ground chicken meat was 2%, 4%, and 1.2% for rosemary, garlic, and mustard,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ion of total viable cells and E. coli differed during storage period for MixA (97.4%) > rosemary (96.9%) > MixB (96.3%) > garlic (53.7%) > mustard (33.3%). The addition of sterilized garlic to ground chicken meat showed that the total viable cells was low at 2.6-3.0 log CFU/g on the 0-day and 2.4-3.2 log CFU/g on the 9-day, and the number decreased as the storage lengthened. Non-sterilized garlic treatment showed a higher number of total viable cell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is increased with elapse of storage time. The number of E. coli, was low at 0.4-1.0 log CFU/g on the 0-day and 0.5-1.5 log CFU/g on the 9-day for the sterilized group, and the change during the storage showed a similar trend for the total viable cells. In conclusion, the microbial safety of ground chicken meat products was improved by various mixed applications of rosemary, garlic, and mustard.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정세윤((주)사세) | Seyun Jeong (SASE Co., Anyang, Korea)
  • 김용석(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Yong-Suk K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