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대 중국 ‘술수, 방기’의 백제 전파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pread of Ancient Chinese Shushu and Fangji to Baekj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0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고에서는 고대 중국에서 ‘술수, 방기(術數, 方技)’의 내용과 변천을 검토하고 ‘술 수, 방기’가 백제(百濟)에 전파된 사상적 배경, 시대적 배경 그리고 전파 경로를 중심 으로 살펴보았다. ‘술수, 방기’가 백제에 전해지기 전에 우리나라는 이미 ‘술수 방기’ 가 뿌리 내릴 수 있는 사상적 배경과 토양을 가지고 있었다. 고대 중국의 ‘술수, 방 기’는 당시 일종의 선진문화로서 직접 및 간접적 경로를 통해 백제에 전파되었다. 백 제는 중국에서 들여온 ‘술수, 방기’의 문화를 흡수하고 자국 상황에 맞게 변용하고 적용했을 뿐 아니라, 더욱 발전시켜 일본에도 전파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how the the shushu and fangji spread to Baekje from ancient China. The system of Shushu and Fangji, which cannot be ignored in ancient East Asian studies, had great effects on many fields of early Chinese society, and also deeply influenced Japan and Korea. Ancient Korea has a deep tradition of Shushu and Fangji. Baekje and China had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hich entailed the importation of a large amount of Shushu, Fangji knowledge by Baekje from China. In A.D 450, Baekje asked the Liu Song Dynasty for Yilin and Shizhan, which indicates that Baekje had reached a reasonable level of competence in the field of Shushu. Though the motivation is not clear yet, It appears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military activities as well as state sacrifice. Baekje absorbed Shushu, Fangji and developed it within its local context, giving Shushu, Fangji a new outlook.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Baekje's Shushu, Fangji will be more fully outlined by drawing on a study of historical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inthe future. In this regard, an evolving understanding of Baekje Shushu, Fangji will be more able to seamlessly and continuously incorporate new theories and information.

목차
초록
1. 서론
2. 고대 중국 ‘술수, 방기’의 전개와 함의
    1) ‘술수, 방기’의 의미
    2) ‘술수, 방기’ 함의의 변천
3. 고대 중국 ‘술수, 방기’의 백제 전파
    1) 백제의 원활한 대외교류
    2) 양국의 활발한 인구이동
    3) 다양한 전파 경로
4.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쉬리(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강사) | Xu Li
  • 김성자(국립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강사) | Kim Sung-Ja Corresponding author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