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지용 「갈릴레아 바다」와 윤동주 「이적」의 갈릴리: 윤동주 연구․15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3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Several poets have written about the so-called “Anecdote of Lake Galilee” from the Bible. Jeong Ji-yong wrote “Galilean Sea,” and Yoon Dong-joo wrote “The Miracles” against the backdrop of this event. Through these texts, we can see that both Jeong Ji-yong and Yoon Dong-joo use the Galilee anecdote as a theme of intense self-reflection. For Jeong, the Galilean story is a story of self-reflection, while for Yoon, the poem is a story of existentialist engagement. This paper examines the religious backgrounds that led to the writing of religious poetry by Jeong and Yoon. However, Jeong’s religious poetry is more conceptual, while Yoon’s is more active. Despite his poetry, Jeong Ji-yong also engaged in practical resistance, such as not writing pro-Japanese poetry and refusing to engage in pro-Japanese behavio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sense of how both poets fused the Western religion of Christianity into Korean poetry with two representative expressions.

성경에 나오는 소위 ‘갈릴리 호수의 일화’를 여러 시인들이 썼다. 정지용은 「갈릴레아 바다」를 썼고, 윤동주가 이 일을 배경으로 「이적」을 쓰고, 박목월은 「갈릴리 바다의 물빛을」을 쓴다. 이 글을 통해 정지용과 윤동주는 모두 치열한 자아성찰을 소재로 ‘갈릴리 일화’를 인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지용에게 갈릴리 일화가 자아를 성찰하는 소재로 쓰였다면, 윤동주에게는 갈 릴리 일화가 실존주의적 참여를 다짐하는 소재로 쓰이고 있는 시를 확인했다. 정지용과 윤동주가 종교시를 쓰기에 이르는 종교적 배경에 대해서도 살펴보았 다. 다만 정지용의 신앙시를 보면 관념적이고, 윤동주의 신앙시를 보면 적극적인 의지가 강하게 보인다. 시는 그렇지만 정지용 또한 친일시를 쓰지 않고 친일행 위를 거부하는 현실적인 저항을 했다. 이 글은 정지용의 「갈릴레아 바다」와 윤 동주의 「이적」을 비교했지만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특히 정지용의 종교시는 한 편 한 편 따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 정지용 시집 4부에 실린 순서대로, 「불사 조」부터 시작하여 이후에 실리는 8편의 시 「나무」, 「은혜」, 「별」, 「임종」, 「갈 릴레아 바다」, 「그의 반」, 「다른한울」, 「또 하나 다른 태양」을 통해, 정지용이 무엇을 얘기하려 했는지 그 흐름을 보아야 할 것이다. 아쉬움은 있지만 이 글을 통해 두 시인이 서양의 종교인 기독교를 어떻게 한국 시로 융합하여 창작했는 지, 두 가지 대표적인 표정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다행이겠다.

목차
I. ‘갈릴리 바다’와 실존—서론
II. 정지용과 윤동주가 만난 갈릴리 바다
    1. 마음 속에 갈릴리 바다—정지용의 「갈릴레아 바다」
    2. 고통과 마주하는 참말이적—윤동주의 「이적」
III. 정지용의 가톨리시즘, 윤동주의 북간도 기독교
    1. 정지용의 가톨릭 사상
    2. 윤동주와 ‘북간도 기독교’
IV. 종교시의 두 가지 얼굴—결론
저자
  • 김응교(Associate Professor at the DIVISION OF GENER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im Eung-g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