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계의 시가 특징과 명대 시학의 추향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1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고계는 원말·명초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명대 시단에서는 그를 ‘명대 으뜸의 시인’ 으로 칭하였다. 그의 시는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를 학습하고 이를 모방하여 창작하 는 과정에서 독특한 개성을 담았다. 그러나 창작의 황금기를 이루어야 전성기에 문 자의 화를 당하여 한 시대 혹은 한 시파를 대표할 시풍을 남기지 못하였으나 원말의 공허하고 농염한 풍격을 변혁하고 명대의 복고 시를 추동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고계의 시의 특징은 바로 모든 시체를 골고루 디 갖추어 고전 시가 형식과 내용에 작가의 성정을 모두 담아 독자적인 풍격과 창의성으로 시대성과 다양성을 지닌다. 또 복고의 경계를 넘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작가 정신을 구현하는 창신(創 新)한 열정적인 창작으로 전통적인 고전 시와 당대 시가의 답습에 그친 명대의 복고시풍과는 달랐다. 명초 시단의 시인들이 고계를 흠모하고 그의 시를 적극 배우려 한 것도 시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서정성, 창의적 복고에 가까워지기 위함이었다.

Gao Qi was a poet representing the late Yuan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and poetry critics called him ‘being above the whole generation of Ming Dynasty poets’. His poetry contains a form one unique style in the process of learning classical poetry representing each era and creating by imitating it. However, due to his early death, he was unable to spend the golden age of creation and did not leave behind a poetry style that could represent an era or form a poetry school. The characteristic of Gao Qi’s poetry lies in ‘It has all the forms of the poem evenly’. The poet insisted that a good poem could be written only when the proper classification of the corpse and the combination of poetic intention and poetic taste were balanced. It can be said that it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classic poetry and retro poetry of the Ming Dynasty, which could not follow and digest the time as it was, because it was an immersion of an innovative beginning that transcends the boundary of retro and embodies the spirit of a new writer needed by the times. The poets of the Ming Dynasty poets scrambled to adore Gao Qi and actively tried to learn his poem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stale retro and approach creative revival. The evaluation that he pioneered poetry in the Ming Dynasty originated here. 저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계 시론과 시가의 특징
    1) 시의 정신과 태도
    2) 시가의 특징
3. 고계 시의 평가와 명대 시학의 추향
    1) 시에 대한 평가
    2) 명대 시학의 추향
4. 나오는 말
저자
  • 정보선(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 Jung Bo-Seo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