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수륙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되 었다. 수륙재의 성립과 전개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작동되는데, 첫째 관점 은 수륙재의 의미론적 양상을 중심으로 성립을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현재에 전승된 수륙의문(儀文)의 성립과 변용 등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는 것이다. 수륙재의 과거 위상은 국가 의례의 성격이 대단히 농후하다는 것이다. 수륙재의 기원으로 알려진 양나라 무제가 설행한 것 등 국가나 왕후장상 이 주로 수륙재회를 열었으나 일반 민중도 공덕을 쌓기 위해 수륙재를 열었다. 왕실 의례라는 성격은 선영(仙靈)을 연에 모시는 시련(侍輦)에서 잘 확인이 된다. 수륙재의 현재 양상은 설판(設辦)의 축소 등으로 인해 의례의 일반화 가 일어나 수륙재의(水陸齋儀)의 모습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19세기 이 후에는 수륙의문의 발간이 일어난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 현재 국가중요 무형문화재를 제외하면 일반적인 재회를 수륙재라고 하는 등 다양한 형 태로 진행되며, 의례 주체의 이원화, 설단 등은 법당 안의 모습을 실외로 옮긴 듯한 양상으로 진행된다. 수륙재의 미래는 재회(齋會: 음식을 제공하는 의례)의 의미가 살아나야 하고, 설행을 내부와 외부의 승려와 재자가 같이 참여해야 하며, 동참자 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본래 목적의 달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전통 문화적인 요소가 사라지지 않도록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It has two kinds of perspectives o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uryukjae. The first is to explain the establishment focusing on its semantic aspects, and the second revolves around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its ritual orations handed down to the present Suryukjae has a strong character as a national ritual concerning its status in the past. The state and the royal court mainly held Suryukjae, such as those held by Emperor Wu of Liang known as the origin of Suryukjae and so on. But the common people also held Suryukjae to build merit. Its nature as a royal ritual is found in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for the immortal and the divine spirits(仙靈). The current Suryukjae shows that it has few aspects of its offering ritual ceremony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rituals with its setup reduced, and its ritual orations have not been published since the 19th century. Currently, except for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uryukjae is perform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we name the general ritual ceremony as Suryukjae, dualizing ceremony organizers, and setting up the altar-setting as if the interior of Dharma Hall is moved to the outdoors. For the future of Suryukjae, we should revive the meaning of the ritual banquet for both living beings and the spirits of the deceased, allow monks and disciples from inside and outside to participate in the ritual, and make participants understand its contents. At the same time as pursuing the achievement of its original purpose, we should keep in mind so that its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may not disappear.